8일 열린 남북 대령급 실무회담에서 남북은 고위급 회담의 의제와 수석대표 등을 놓고 9시간 이상 마라톤 협의를 가졌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9일 같은 장소에서 회담을 재개하기로 했다.
남측은 고위급 회담에서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북측의 책임있는 조치와 추가 도발 방지를 약속해야만 남북관계가 진전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이를 의제로 다룰 것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북측은 ‘천안호 사건, 연평도 포격전, 쌍방 군부사이의 상호 도발로 간주될 수 있는 군사적 행동을 중지할 데 대하여’를 의제로 제시하면서 “천안함과 연평도 문제만을 다루고자 하는 것은 고위급 군사회담을 거부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정부 관계자는 “북측은 천안함과 연평도, 상호신뢰구축이라는 3가지 의제를 한꺼번에 다루자는 견해를 보였고, 우리측은 천안함과 연평도 도발부터 다루자는 입장이었다”면서도 “크게 싸우기 보다는 고위급 회담을 성사시킨다는 데는 남북이 입장 차이가 없었다”고 전했다.
수석대표와 관련해서 우리측은 ‘국방부 장관과 인민무력부장 혹은 합참의장(대장)과 총참모장(차수)’으로 제기했고 북측은 차관급인 인민무력부 부부장(대장 및 상장) 혹은 총참모부 부총참모장(대장 및 상장)으로 맞섰다. 북측은 김영춘 차수 대신 김영철 인민군 정찰총국장(상장)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실무회담에는 우리 쪽은 수석대표인 문상균 대령(국방부 북한정책과장) 외 2명이, 북측은 단장(수석대표)인 리선권 대좌(대령급) 외 2명이 각각 참석했다. 대령급 실무회담은 작년 9월30일 판문점에서 열린 이후 4개월여 만이다.
한편, 북측은 이날 열린 실무회담에서 이달 15일 전후로 고위급 군사회담을 개최하자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은 고위급 군사회담을 빨리 개최하자는 입장”이라며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하루 앞인 이달 15일 이전 또는 이후 여러 날짜를 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우리 측은 “회담 준비를 위해서는 최소 2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면서 “의제가 합의된다면 최소 2주 후에는 본회담도 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소식통은 “북측은 (천안함 폭침사건이)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는 얘기는 안했다”며 “다만, 고위급 군사회담에서 천안함과 연평도 문제에 대한 견해를 밝히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소식통은 “북측은 군사적 긴장완화 등 포괄적인 의제를 제시했고 우리는 천안함과 연평도 문제부터 해결하자고 압박했다”며 “북측은 ‘의심하지 말라. 본회담이 열리면 의심이 깨끗이 해결될 것’이라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