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유엔에 “최근 3년간 북송 어린이 48명” 답변

북한이 오는 9월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의 인권 상황 심의를 앞두고 지난 3년간 이웃 국가에서 북한으로 송환된 아동이 48명이라고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북송된 어린이의 규모를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일 유엔 홈페이지에 따르면 북한은 최근 위원회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최근 통계수치를 제공하면서 “48명의 어린이가 송환됐다(Forty-eight children were repatriated)”고 명시했다.
 
이어 탈북어린이 문제와 관련해선 “일부 어린이가 동반자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불법적으로 국경을 넘어갔다”면서 “이는 일부 적대 분자의 부추김에 따른 것이거나 적대세력이 꾸민 음모의 희생양이 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어린이가 함께 갔다가 돌아온 성인들은 불법행위의 동기와 목적에 따라 상응하는 처벌을 받았지만, 어린이는 처벌받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남조선(한국) 당국의 책동’으로 납치됐다 돌아온 9명(2013년 발생한 라오스 탈북 청소년 북송 사건으로 추정)의 어린이를 거론, 평양건축종합대학, 함흥사범대학에서 공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유엔 아동권리위가 최근 3년 방임·학대 피해를 당한 어린이 수를 공개하라는 요청에 “시설이 있는 어린이 6명이 방임·학대를 당했으며, 시설 인력 6명이 아동학대에 따른 처벌을 받았다”고 답변했다.
 
하지만 정치범 수용소에 어린이가 있다는 점은 부정했다. 기존 입장과 같이 “정치범 수용소와 같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이제는 (꽃제비를)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고 강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