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베를린 미·북회담에서 영변 5MW급 원자로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일본 아사히 신문이 25일 보도했다. 신문은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보이는 6자회담에서 북한이 핵폐기를 위한 ‘초기 단계 조치’로 이에 합의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신문은 또 복수의 회담 관계자를 인용 “북한 측 6자회담 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미국 측에 원자로 가동 중지 외에도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재입국 및 감시에도 응할 수 있다는 뜻을 드러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지난 2003년 원자로를 재가동한 북한은 이미 핵폭탄 6~8개분의 플로토늄을 추출했기 때문에 원자로 가동을 중단해도 앞으로의 핵개발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판단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그러나 “북한이 에너지지원 등 최대한의 대가를 요구할 것으로 보여 회담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은 지난해 말 베이징에서 열린 6자회담에서 북한 핵폐기를 향한 초기 단계 조치로 핵관련 시설의 가동 중지와 IAEA 사찰, 핵 실험장의 폐쇄, 핵 관련 프로그램의 신고 등을 요구한 바 있다.
따라서 북·미가 초기단계 이행 협상에서는 북한의 투명한 핵시설 신고와 IAEA 사찰단의 권한을 단순 동결 감시를 넘어 필요한 곳에 대한 사찰을 보장하는 문제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시 행정부 내에서는 최근 북미간 합의에 대해 언제든지 재가동할 수 있는 원자로 중단에 따른 대가를 지불하는 것이 북한의 전략에 이용당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