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함경남도 함흥 시장 상인들에게 평양 건설사업 지원 명목으로 1인당 최대 15만원씩을 강제징수하고 있다고 북한 내부소식통이 18일 전해왔다.
소식통은 이날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함흥시 인민위원회가 10월부터 시장 매대 상인들에게 ‘평양 건설자들에게 물자지원을 해야한다’는 명목으로 돈을 걷고 있다”면서 “함흥시내 회상구역 시장과 사포구역 시장 매대 상인들의 경우 1인당 15만원씩의 책임이 부과됐다”고 말했다.
함흥은 북한의 대표적인 공업도시로 시장 규모도 다른 도시보다 큰 편이다. 회상구역 시장과 사포구역 시장은 매대 상인만 각각 500명이 넘고 있다. 산술적으로만 계산했을 때도 1개 시장에서 7천5백만원을 걷는 셈이다.
시장관리소는 매대상인들에게 매일 300~500원의 ‘자리세’를 걷는다. 가전제품 등 고가제품을 파는 상인들은 500원,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식료품 판매 상인들은 300원 정도다. 15만원이면 1년치 자리세에 육박한다. 현재 함흥지역의 시장 쌀 가격으로 따져보면 매대 상인 1인당 쌀 50kg 정도를 걷는 셈이 된다.
시장 상인들은 “국가에서 장사밑천 대주는 것도 아니면서 무슨 명목으로 돈을 걷나” “장사가 안돼서 매일 자리세 내기도 벅찬 판에 그 큰돈을 어디서 마련하란 말이냐”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 같은 조치가 중앙당의 일괄 지시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시장 상인들에게 돈을 걷는 것으로 확인된 지역은 지금까지 함경남도와 양강도 정도다.
소식통은 “양강도 혜산시장에서도 매당 상인들에게 1인당 10만원씩 걷고 있다”면서 “도당(道黨) 차원에서 평양 건설사업 지원용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시장상인들에게 돈을 걷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북한이 지난 7월 수해와 관련 우리 정부가 인도적 지원 의사를 밝혔을 당시 “식량, 시멘트, 건설기계 등을 보내달라”는 메시지를 곧장 보내왔던 것도 평양시내 건설사업 부진과 관련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우세했었다. 정부가 비상식량 및 의약품 위주로 지원품목을 선정하자 북한은 ‘침묵’으로 일관하며 사실상 지원을 거부했다.
북한은 김일성 탄생 100주년이 되는 2012년을 ‘강성대국 원년’으로 정하고 군(軍), 내각, 인민보안부, 검찰, 대학 등을 총동원해 평양 10만호 주택 건설 및 각 지역 수력발전소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자재부족 및 동원 인력에 대한 식량배급 문제가 제기되면서 평양 만수대 거리를 제외한 용성구역, 서포구역 등의 건설 상황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한편, 현재 북한 당국의 시장 통제는 매우 느슨한 것으로 전해진다. 소식통은 “아침부터 밤까지 시장이 열리고 있고, 일상적인 메뚜기(노점상) 단속 외에는 특별한 검열이 없다”면서 “국가사업이랍시고 상인들에게 돈까지 걷고 있으니 당분간 시장을 가만 두지 않겠냐”고 말했다.
북한 당국은 과거 상설시장 공식 허용(2003년), 식량거래 전면금지(2005년), 만 49세 미만 여성 장사금지(2007년), 화폐개혁 및 시장폐쇄(2009년) 등 내부통치에 자신감을 보일 때 마다 시장에 대한 통제를 강화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