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북한 평안남도 순천과 개천 지역에서 석탄을 만재한 군용 트럭들이 남포 쪽으로 줄지어 가는 모습이 종종 포착되고 있다고 소식통이 알려왔다. 군 당국이 자금 확보 차원에서 병력을 동원, 대북 제재 품목인 석탄을 밀수하기 위한 움직임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평안남도 소식통은 15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이달 초부터 최대 석탄 매장지인 순천과 개천에서 군용 넘버를 단 20t 트럭들이 자주 보인다”면서 “한두 대가 아니라 대체로 10대 씩 석탄을 가득 싣고 남포 쪽으로 향하는 모습이 종종 목격되는 것”이라고 전했다.
지난 2000년 이후 북한의 대(對)중국 무연탄 수출이 증가하자 총정치국, 후방총국, 정찰총국 등 군과 특수 기관들이 직접 평안남도 순천과 개천 등지에서 석탄 수출에 뛰어들었다. 또한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 효과에 힘입어 막대한 자금을 벌어들였지만 2017년 시행된 유엔 대북제재결의안 2371호 이후 제대로 된 이윤을 낼 수 없었다고 한다.
실제 한국무역협회(KITA) 통계에 따르면 2011년 이후 북한의 대중국 석탄 수출액은 11억 달러 정도를 유지해왔지만, 지난해엔 4억 달러(약 4500억 원) 수준으로 급락했다.
소식통은 “남포항을 통해 군이 직접 불법적 무역을 진행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곳곳에서 들린다”면서 “군은 정상적인 방법이 막히면 비정상적인 방법을 총동원해 어떻게든 돈을 벌어들이려고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당국이 (대북) 제재 때문에 자금이 부족해졌다는 점도 엿 볼 수 있다”면서 “위에서 내려오는 군비가 보장이 안 되고 있기 때문에 군대가 이런 짓을 지속적으로 꾀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지적했다.
밀수가 아닌 황해도 지역 주민들에게 판매를 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량 유통을 기획했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있다.
소식통은 “황해남도 쪽에는 생산이 안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석탄이 배(倍)로 비싸다. 그쪽에 팔기 위한 움직임일 수도 있다”이라면서 “일반적으로 이런 돈벌이는 사회 장사꾼들이 했었는데 군이 직접 가담하면 일반 장사꾼들은 설 자리가 점점 없어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한편 강력한 대북 제재에도 안정적이었던 석탄 가격이 최근 조금씩 상승하는 추세라고 한다. 평안남도에서 지난달 1t당 북한 돈 15만 원에 거래되던 석탄이 최근엔 16만 원까지 상승했다는 것.
소식통은 “겨울이 다가오면서 곡물 가격이 조금씩 오르고 있는데, 이에 따른 영향일 수 있다”면서 “또한 월동 준비 때문에 수요가 늘어나고 있고, 군 쪽에서 석탄 확보에 나서 공급량이 줄어든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