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서해 경비정과 해안포부대에 실탄과 포탄을 보강하는 등 서해 주둔 전력의 전투력을 보강하는 한편 합동사격훈련과 기습 상륙훈련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정보당국에 포착돼 주목된다.
정보당국과 군은 북한군의 이 같은 훈련강화를 무력도발이 임박했다는 직접적인 징후로 평가하지는 않지만 북한군의 계속되는 움직임이 예상치 못한 도발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 아래 경계의 끈을 늦추지 않고 있다.
정보당국의 한 관계자는 1일 “북한군이 겉으로는 아주 조용하지만 내부적으로 뭔가 움직임은 있다”고 말해 북한군의 특이동향이 일부 관측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정전협정 무효화’와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부정한 상황에서 이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사실상 도발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성만 전 해군작전사령관은 ‘데일리엔케이’와 가진 통화에서 “1차 연평해전 당시에도 약 2주간 북한은 군사훈련을 강행했다”면서 “3차 연평해전이 임박했고 피할 길은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김 전 해군작전사령관은 “이미 북한은 서해5도에 대한 남측 영토권을 부정했고, 정전협정도 무효화를 선언해 훈련 여하를 떠나 군사적 도발을 선언한 셈”이라며 “서해 NLL은 북한으로서는 선제공격, 시간, 장소의 선택권을 갖는 ‘꽃놀이 패’이기 때문에 조만간 도발을 강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군은 지난 1월17일 ‘대남 전면대결태세 진입’ 성명을 발표한 뒤 준전시상태 명령 등은 하달하지 않았지만 전시에 상응하는 대비태세를 갖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지난달 27일 성명에서 우리 정부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전면참여 발표를 ‘선전포고’로 규정하고 “우리는 전시에 상응한 실제적인 행동조치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도 일맥상통하다.
북한군은 이와 관련, 남포 서해함대사령부 예하부대 소속 경비정을 비롯한 해안포부대에 실탄과 포탄을 평시보다 2배 이상 비축할 것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사시 무력충돌에 대비해 일선부대의 전투력 보강 차원에서 이뤄진 것으로 분석된다.
또 서해 남포 인근 초도에서는 합동사격훈련을 강화하고 고속상륙정을 이용한 상륙훈련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초도는 서해함대사령부 예하 8전대의 전진기지로, 함정 실탄사격이 자주 이뤄지는 곳이다. 상륙훈련은 무력충돌이 확전으로 번질 경우 백령도와 연평도에 기습 상륙하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북한은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를 감시하는 경비정은 추가 배치하지 않고 있으며 NLL 북쪽 해안에서 북한 어선들이 지속적으로 포착되는 등 당장 도발 위협의 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다.
또 서해 일선부대의 통신량도 예년 수준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통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은 상급부대에서 일선부대로 각종 지시가 많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에 ‘이상징후’ 지표 가운데 하나다.
북한이 평안남도 숙천 인근 대평리 앞 서해상에 이달 13~14일, 그리고 같은 해상에 다음 달 말까지 각각 선박 항해금지 수역을 선포한 것에 대해서도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 해상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장소로 꼽히는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와 얼마 떨어지지 않아 미사일 발사에 대비하려는 조치가 아니겠느냐는 분석이 그 중 하나다.
하지만 항해금지구역을 선포한 것은 해상의 자원탐사나 통상적인 군사훈련일 가능성도 있어 정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