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생사확인 불가’ 통보는 아버지 생사확인과 구출을 위한 내 의지를 더 강하게 한다.”
황인철 1969년 KAL기 납치피해자 가족회 대표는 지난 11일 국제적십자위원회(ICRC)를 통해 “(피랍자 11인의) 생사확인이 불가능하다”라는 북한 측의 답변을 전달 받고 구출운동에 대한 의지를 다시 한 번 다지게 됐다고 한다.
가족회는 지난 4월 20일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 서신을 보내 북한의 조선적십자회에 피랍자에 대한 생사 확인을 해줄 것을 요청했고 이날 ICRC로부터 이런 내용의 북한측 답변을 전해 받았다.
ICRC는 가족회에 보낸 서신에서 “북한은 ‘남조선에서 온 사람들은 모두 자유의지로 공화국에 남아있으며 현재 생사 확인은 불가능하다’는 기존의 답변을 반복했다”고 전했다.
북한은 지난 2006년 6월 한국 정부가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이들에 대한 생사확인을 요청했을 때도 “생사확인 불가”라는 답변을 내놨다.
황 대표는 12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인도주의를 거부하는 북한에 굉장히 화가 난다. 북한이 내놓는 ‘생사확인 불가’라는 답변은 오히려 아버지께서 살아계실 것이라는 확신을 강하게 만든다”면서 “당혹스럽지만 앞으로 납북자 생사확인과 구출을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애써 담담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면서도 “북한은 인도주의를 벗어나는 행위를 하고 있다. 북한에 굉장히 화가 난다. 이것은 납북자들을 여러번 죽이는 행위”라고 울분을 토했다.
현재 황 대표는 KAL기 납치피해자 생사확인 및 구출 운동을 국민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최근에는 경기도 일대에서 KAL기 납치피해자 사진전을 진행하고 있다. 12월까지 각 지자체의 도움을 받아 사진전을 열 계획이며 세계인권선언의 날(12.10)을 기념해 국회 사진전도 준비하고 있다.
황 대표는 “국민들이 KAL기 납치 사건을 모르기 때문에 이런 활동 자체도 모른다”면서, 그러나 “사진전을 본 관람객이 다가와 ‘어디서 서명을 해야 하는가’라고 물었을 때 희망을 느꼈다”고 말했다.
현재 KAL기 납치피해자 생사확인은 유엔 인권이사회 강제적·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의 차원에서 비공개로 진행되고 있다. 유엔 측에서는 이미 북한 대표부에 KAL기 납치피해자 생사확인을 요청한 상태다.
북한이 이같은 요청에 응하지 않을시 유엔은 6개월마다 북측에 생사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또한 유엔 차원에서 이 문제를 공식 거론해 국제사회의 지원을 이끌어낼 수 있다.
황 대표는 “북한의 답변시한은 내년 2월까지”라며 “북한의 움직임을 본 후 2월부터 KAL기 납치 피해자 생사확인·구출운동을 대대적으로 벌일 것”이라고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