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비사검열’ 한국행 시도 실내처형

▲ 노동단련대 강제노동 현장

북한 당국이 지난해 11월부터 함경도를 중심으로 북-중 국경지대에서 일제 실시한 ‘비사회주의 그루빠(비사회주의 검열대)’ 활동을 3차에 걸쳐 실시한 결과, 수백명이 감옥에 가거나 강제 이주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실은 <북한민주화운동본부>가 지난 한달여 동안 북-중 국경지대의 내부 소식통을 통해 북한당국의 ‘비사검열활동’을 집중 추적한 결과 최근 밝혀진 것이다.

지난달 24일 종료된 것으로 알려진 ‘비사그루빠’ 활동은 그 파급효과가 매우 컸던 것으로 알려진다.

검열에 적발된 수 백 명이 감옥에 갔고, 탈북자 가족이나 외부와 연계돼 재산을 축적한 수 십 세대가 함경남도 요덕과 황해도 옹진 등으로 추방당했다. 검열과정에서 적발된 중범죄자나 한국행을 시도한 탈북자에 대해서는 비밀리에 사형(일명 ‘실내처리’)에 처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 <데일리엔케이> 특파원과 인터뷰를 가진 중국인 사업가 계철민(가명∙43세)씨는 “이번 ‘비사그루빠’는 김정일이 직접 지시로 중앙당 조직지도부와 보위사령부 일꾼들로 구성된 것으로 들었다” “식량난 이후 북-중 국경지역에 밀려든 자본주의 요소를 척결한다는 목표로 검열을 시작한 것”이라고 증언한 바 있다.

北당국, 체제위협 심각 인식

사실상 김정일의 직접 지시를 받아 움직이는 중앙당 조직지도부와 보위사령부가 이번 검열에 나섰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그만큼 심각한 위기감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북한 당국은 96년 식량난 이후 국경통제가 느슨해지면서 탈북자가 속출하고 잦은 중국과의 왕래를 통해 자본주의 요소가 들어온 결과, 현재는 체제를 위협하는 수준에까지 이르렀다고 판단한 것이다.

총 3차에 걸쳐 진행된 이번 검열에서 가장 먼저 단속 대상이 된 것은 이른바 ‘자본주의 요소’로서, 비디오, 라디오, 핸드폰 등을 소유한 행위. 이같은 품목에 대한 밀수나 탈북에 관여된 자는 매우 엄하게 처벌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자나 중국 친척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생계를 이어가는 가족들은 세대 전체가 내륙지방으로 추방되기도 했다.

국경 3중 봉쇄,주민 불만 고조

국경지역 주민들에 따르면 당에서 조직한 이번 ‘비사그루빠’를 좋은 시선으로 보지 않는다고 한다. 국경지역 주민들이 중국 친척의 도움을 받거나, 몰래 도강을 해 중국에서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마저 막으면 살길이 막막하다는 것이다.

‘비사그루빠’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여전히 국경을 통한 밀수와 탈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 당국은 현재 국경을 통한 밀수와 탈북을 제지하기 위해 3중으로 국경을 봉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1선에 국경경비대(강에서 10∼50M)가 봉쇄하고 ▲2선은 노농 적위대(주택-강가)가 감시하고 ▲3선을 보안서에서 담당(주택구에서 야밤에 움직이는 거동수상자 감시)해 순찰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비사그루빠’ 활동을 집중 조명해온 <북한민주화운동본부> 한 관계자는 “국경지역 주민들이 요즘 나누는 화제가 ‘비사그루빠’에 관한 불평을 쏟아내는 것”이라면서 “어떻게든 살려고 발버둥치는데 이것을 막아버리니 김정일에 대한 원망이 더욱 쌓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박인호 기자 park@dailyn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