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지난 17일 중국 선양(瀋陽)에서 막을 내린 6자회담 한반도 비핵화 실무그룹회의에서 북한에 대해 영변 핵시설 3개를 우선 불능화 대상으로 지목했지만 북한이 즉답을 하지 않았다고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23일 보도했다.
미 정부 고위 관리의 발언을 인용해 보도한 이 신문은 미국이 플루토늄을 제조할 수 있는 ‘5MW급 실험용 흑연감속로’를 비롯해 핵연료봉 재처리시설인 ‘방사화학실험실’과 ‘핵연료가공시설’ 등 3개 시설에 대해 핵프로그램 신고와 병행해 우선 불능화할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신문은 또 이 고위 관리가 이들 시설의 불능화에 필요한 기간은 수개월 가량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북한은 3개 핵시설의 우선 불능화 착수를 요구한 미국의 요구에 즉답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3개 핵시설에 대한 불능화가 우선 이뤄진다면 북핵 폐기에 큰 진전이 될 수 있으나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합의가 이뤄지지 않고 있어 교섭에 난항이 예상된다고 신문은 전했다.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는 17일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핵시설 신고와 불능화 병행에 동의했다”고 밝혔지만 이 고위 관리는 실무그룹 회의에서 불능화 방법에 대한 아무런 결론을 내리지 못했으며 “(북한이) 모든 조치에 가격을 매겨 왔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9월 중에 열릴 예정인 6자회담 본회의에서는 이 문제를 놓고 논란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9월 초에 열릴 예정이었던 6자회담이 연기될 예정이다. 9월 2~9일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열릴 예정인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및 부속 회의에 미국, 러시아, 일본 등의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실무자로 참석하는 관계로 9월10일 이후에나 회담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