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식량사정이 `만성적인 식량난’ 단계에서 `극심한 식량 및 생계위기’, 나아가 `인도주의적 긴급상황’으로 악화되고 있다고 장 피에르 드 마저리 세계식량계획(WFP) 평양사무소장이 밝혔다.
마저리 소장은 22,23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와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가 공동 주최하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미래’라는 국제학술회의에 앞서 미리 배포한 발표문에서 북한 주민들의 식량 입수 경로를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에 따르면, 북한에서 경작 외에 수렵이나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는 인구가 공공배급 대상자의 경우 2003~2005년 평균 50% 선이었다가 올해 70%를 넘어섰고, 협동농장원의 경우 60% 초반에서 70% 중반으로 크게 증가했다.
또 친지로부터 식량을 지원받는 도시민의 비율도 2003~2005년 60% 초반에서 올해 80%를 넘어섰으며 , 하루 세끼를 먹는 비율은 협동농장원 10명중 6명 꼴인 데 비해 공공배급 의존층은 2.5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저리 소장은 또 식량 섭취량과 빈도가 줄어드는 것과 함께 식단 역시 단조로워져, 2가지 또는 3가지 식품군을 섭취하는 비율이 각각 42%와 39%로 합해 81%를 차지하고, 4가지(15%)나 5가지(3%) 식품군을 섭취하는 경우는 합해서 20%도 안된다고 추산했다.
그는 북한이 “비료나 연료 부족 탓에 2008~2009년 수확량이 불확실하고 대규모 식량 수입도 기대할 수 없다”며 식량난이 내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계보건기구(WHO) 평양사무소의 보건의료 전문가인 아빈드 마서(Arvind Mathur) 박사는 `임산부 및 영유아 사망률 감소 전략’이라는 제목의 발표문에서 북한 산모들과 아동들의 영양부족 상태에 따른 대책 마련을 호소했다.
그는 영양부족으로 인해 “북한의 산모들은 빈혈, 영양부족, 야맹증, 저체중 출산 등의 현상을, 아동들은 만성 또는 급성 영양장애, 저체중 등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에 따르면 북한의 산모 사망률은 10만명당 97명, 영아(생후 1년 미만) 사망률은 1천명당 20.23명, 5세 미만 유아 사망률은 1천명당 40.87명이다.
지난해 인구보건복지협회와 유엔인구기금(UNFPA)이 공개한 `2007 세계인구현황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영아 사망률은 1천명당 42명, 5세 이하 유아 사망률은 1천명당 56명(남)과 49명(여)이며, 출생아 10만명당 임신.분만 및 합병증으로 숨진 산모(모성) 사망률은 67명이어서 마서 박사의 통계와는 다소 다르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