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발뺌 말고 실종자 문제 해결에 나서야

미국의 소리방송은 5일 유엔인권이사회 산하에 있는 “강제적 비자발적 실종에 관한 실무그룹”이 현장조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초청해 줄 것을 북한에 요청했다고 보도했습니다. 그러니까 유엔이 직접 실종자 문제를 해결을 위해 현지 방문조사를 하겠다고 북한당국에 신청한 겁니다. 북한에서 실종된 사람하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많겠지만 이번에 유엔이 북한당국에 요구한 건 47건, 그 중 9건은 여성과 관련된 사건입니다.

유난히 눈에 띄는 사건은  2011년 1월에 함경북도 청진시 라남구역 보안서에 잡혀 있다가 사라진 김현철·김현일·김현란·김일현 등 4명의 실종에 대해 북한당국에 해명을 요구한 것입니다. 그 외에 다른 내용은 구체적으로 공개하진 않았지만 지난해 12월에 조선전쟁 이후 납치해 간 12명에 대한 생사여부를 공식 요청했었고 또 그보다 앞서 2011년 8월에도 1969년 대한항공기 납치 사건 피해자 가운데 3명의 생사확인을 북한에 요청했었습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지난 2012년, 대한항공기 납치사건에 대한 실무그룹의 확인 요청에 대한 공식답변에서 이 3명은 강제실종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발뺌했습니다. 강제로 억류한 것이 아니고 그들이 스스로 남겠다고 해서 남았다는 겁니다. 그럼 생사확인이야 해줄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일본인 납치사건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사죄까지 하면서 어째서 한 동포인 한국인과 더군다나 북한인민의 생사여부를 거부하고 현장을 방문하겠다는 걸 막는가 이 말입니다.

오죽하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에게 국제형사재판소에 회부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해줄 것을 요청했겠습니까. 이제라도 늦지 않았습니다. 지금이라도 북한에서 실종된 사람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고 또 유엔 성원들이 북한에 들어와 현지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면서 조사하게끔 방조해야 합니다. 그래야 지난시기 당국의 암묵속에 공공연한 자행된 납치나 또 쥐도 새도 모르게 잡아다 죽이거나 정치범수용소로 보내던 악행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게 됩니다. 이것이 북한이 정상국가로 가는 첫 걸음이라는 걸 잊지 말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