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반테러 성명, 테러국 해제 위한 정치적 노림수”

미국 전문가들은 북한의 ‘반(反)테러 성명’에 대해 미국의 테러지원 해제를 노린 ‘정치적 목적’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10일(현지시각) 맨스필드 재단의 한반도 전문가인 고든 플레이크(Gordon Flake) 원장은 RFA와 인터뷰에서 “(북한의 반테러 선언은) 북한이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해제하기 위한 정치적 기반을 다지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플레이크 원장은 “북한의 반테러 선언은 말은 그럴듯하지만, 북한은 현재 테러행위에 가담하고 있는 시리아와 이란, 그리고 헤즈볼라 단체와 적극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또 이들 정권을 지지하고 있다”며 “따라서 정작 관심을 가져야 할 대목은 북한의 행동이다”고 일갈했다.

또한, “현재 북한의 테러해제 움직임에 관한 미 의회내 분위기가 곱지 않다”며 “북한의 반테러 선언이 미국의 테러지원 해제에 필요한 ‘결정적인 요인’(deciding factor)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민간연구소인 애틀랜틱 카운슬에서 북한연구 책임자를 지냈고, 현재 자문회사 프로글로벌 대표로 있는 스티븐 코스텔로(Stephen Costello) 씨도 “북한의 반테러 선언은 미국의 테러지원국 명단에서 해제하기 위한 노력을 최대한 강화하려는 것”이라며 “나아가 부시 행정부가 글렌수정법 유보안 등 의회 내의 대북지원 관련 법안 노력을 뒷받침하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의회에는 북한의 핵불능화 지원 예산과 관련한 글렌수정법 유보안이 걸려 있는데다 공화당 샘 브라운백 의원처럼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반에 불신을 갖고 있는 의원들이 수두록하다”며 “북한의 반테러 선언만으로 이 같은 의회의 불만을 잠재우긴 힘들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편, 10일 북한은 외무성 성명을 통해 “온갖 형태의 테러와 그에 대한 어떠한 지원도 반대하는 일관한 입장을 확고히 견지하고 반테러 투쟁에서 존엄있는 유엔성원국으로서 책임과 의무를 다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 국무부 숀 매코맥 대변인은 “특정 국가가 테러지원국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절차가 있다”며 “북한의 테러 반대 성명은 테러지원국 지정 제외에 필요한 ‘절차의 일환’이다”며 환영 입장을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