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길연 북한 외무성 부상이 29일(현지시각) “우리의 핵무기는 다른 사람을 공격하거나 위협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자기 방어를 위한 억지력”이라면서 “우리의 핵 억지력은 결코 포기될 수 없으며, 오히려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부상은 이날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미국 핵 항공모함이 우리 바다 주변을 항해하는 한, 우리의 핵 억지력은 결코 포기될 수 없다”며 “강력한 전쟁 억지력이 없었다면 한반도는 이미 수십 차례에 걸쳐 전쟁터로 변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책임 있는 핵무기 국가로서 우리는 다른 핵보유국과 동등한 입장에서 핵 비확산과 핵물질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국제적 노력에 동참하려고 한다”며 핵보유국임을 자처했다.
그는 천안함 사건 이후 한국정부의 행보에 대해 “통일과 공동번영, 화해를 향한 전진인 2000년 6·15 공동성명과 2007년 10·4 선언을 거부하고, 반통일적이고 대립적인 이른바 ‘3단계 통일방안’으로 남북 관계를 단절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천안함 사건에 대해서는 “천안함 사건의 기회를 이용해 미국과 남한이 한반도와 그 주변지역에서 대규모로 무력을 이용한 군사적 위협을 하고 있다”며 “한반도를 포함한 동북아시아에서 미국은 평화의 수호자가 아니라 파괴자라는 점을 다시 한번 의심없이 입증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천안함 사건의 진실은 아직 드러나지 않고 있다”며 “우리 대표단은 지난 6월9일 채택된 안보리 의장성명을 왜곡한 남한 대표단의 25일 도발적 성명을 전적으로 거부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남한 정부의 일방적 수사결과가 나온 이후 남한 안팎에서 다양한 비판이 야기되고 있고, 군사·과학적 관점에서도 여러 의문을 낳고 있다”면서 “남한 정부는 우리가 제안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조사를 위한 실사그룹 파견 제안도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박 부상은 “한국전 발발 60주년이 되는 올해 정전협정에 참여한 당사국들에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바꾸는 회담을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할 것을 다시 정중하게 제안한다”고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