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진하 한나라당 제2정조위원장은 11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움직임과 관련 “발사 준비는 거의 끝난 것으로 생각되지만 언제 발사할 지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황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북한의 위협 행동과 관련한 외교·안보 부처 차관들과의 긴급 당정 협의 결과를 발표하고 “북한의 과거 행태를 봤을 때 발사대 조립을 끝낸 후 3일 만에 쏘기도 했고, 20여 일이나 있다가 발사하기도 하는 등 시기를 짐작하기 힘들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최고인민회의나 김일성 주석의 생일(4월 15일) 등 특정한 날과 연결시켜 발사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황 의원은 또 “일부 언론에서 미국의 데니스 블레어 국가정보국(NLL) 국장의 발언을 두고 마치 북한이 주장하는 ‘인공위성’ 발사를 인정하는 것처럼 보도하고 있는데, 이는 번역상의 오류”라며 “원문을 보면 블레어 국장은 ‘우주발사체(space launch)’라는 표현을 썼고, 이것은 인성위성과 탄도미사일이 모두 포함되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황 의원은 “정부와 당은 북한의 행동을 주시하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며 “만일 북한이 무모하게도 도발을 해 온다면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 하에 분명하고도 단호하게 대처 하겠다는 뜻을 확인했다”고 당정 협의 결과를 전했다.
이날 당정 협의에서는 북한의 대남 위협행위에 대한 대응방안도 논의됐다. 각 부처는 이날 논의된 원칙 아래에서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한 구체적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날 마련된 대응 원칙은 ▲모든 정보 노력을 통해 북한의 행위를 주시하되 대처는 유연하게 하고 ▲북한이 우리의 경고나 자제 촉구에도 불구하고 도발한다면 단호하게 대처하며 ▲도발이 있기 전 국제공조를 보강하고, 사후 대응 문제도 구체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것이다.
한편, 황 의원은 “현재 북한이 긴장을 고조시키며 남한에 대해 위협 행위를 하는 것은 이명박 정부의 강경 대북정책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매 정권 교체기 때마다 벌어진 상황”이라며 “오히려 북한이 합의를 해놓고 이행하지 않는 습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의 최근 한반도 긴장 고조에 나서는 이유에 대해 “체제위기 의식으로 인해 내부 결속을 다져야 한다는 목표와 함께 핵 문제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