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몸달았나?…”평화협정 논의” 연일 러브콜

북한이 지난 11일 외무성 성명을 통해 평화협정 회담을 제안한 이후 해외 주재 대사들이 잇달아 언론과 접촉을 갖고 미국 등 관련국들에게 평화체제 논의를 시작하자는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김영재 러시아 주재 북한 대사는 12일 러시아 관영 리아 노보스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평화협정 회담은 6자회담 내에서 혹은 그것과 별개로 열릴 수 있다”며 “우리는 미국에 평화회담 형식에 대해 결정하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김 대사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달 평양에서 열린 미북 양자회담에서 평화협정 회담과 관련해 어떤 식으로든 논의가 있었음을 인정한 것이다. 당시 방북했던 스티븐 보즈워스 미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도 6자회담 재개 시 남북미중 4자 대화를 별도 가동해 평화협정 등을 논의하기로 공감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대사는 또한 “남한 당국이 평화협정 회담을 여는 것에 동의할지 모르겠다. 북한과 미국이 평화회담 문제 해결을 위해 협상 테이블에 앉는 게 좋을 것 같다”며 한국의 평화협정 회담 참여에 유보적 반응을 보였다.


신선호 유엔주재 북한대사도 이날 AP, DPA 통신 등 일부 외신기자들과 가진 회견에서 평화협정 회담 제안과 관련 “6자회담과 병행해 평화 협정을 위한 회담을 진행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또한 “제재는 북미간 불신의 상징”이라며 “북한에 대한 유엔과 미국의 모든 제재가 풀려야만 6자회담과 평화회담이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아울러 “우리는 제재가 풀리면 대화에 복귀할 것”이라며 “한국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한 평화회담은 모든 제재 조치들이 우선 종식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앞서 최진수 주중 북한 대사도 11일 일본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평화협정의 당사자로 미국과 중국만을 거론하고 한국의 참여에 대해서는 유보적 입장을 보이기는 했지만 평화협정 논의가 성사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강하게 밝혔다.


북한이 이처럼 6자회담 내 평화협정 회담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평화협정 이슈를 계기로 삼아 6자회담 복귀 명분을 쌓으려는 의도로 해석과 북한이 평화협정 선(先)의제화를 이슈화시킴으로써 ‘5자간 공조’를 균열시키고, 비핵화 논의의 본질을 흐리기 위한 전술이라는 상반된 해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