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 예정기일(4.4-8)이 다가오면서 한국과 미국, 일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에 대해 잇따라 강력한 경고를 보내며 예상되는 요격이나 제재에 선제대응하고 있다.
지난달 말부터 한.미.일 등의 움직임에 차례차례 입장을 밝혀오던 북한은 로켓 발사 예정 기일을 이틀 앞둔 2일 로켓 발사를 직접 실행할 군 총참모부가 나서 3각 공조체제를 갖춘 한.미.일 모두를 향해 “사소한 요격 움직임”에도 “지체없이 정의의 보복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발사를 앞둔 사실상 최후의 입장 표명으로 보인다.
총참모부는 특히 북한의 로켓이 영해나 영토에 떨어질 경우 요격하라는 ‘파괴명령’을 내리거나 안보리 회부를 위해 주도하고 있는 일본 정부에 초점을 맞춰 일본의 요격 시 “이미 전개된 (일본의) 요격수단 뿐 아니라 중요 대상”도 보복타격할 것이라고 ‘확전 불사’ 의지도 드러냈다.
그러나 일본의 입장은 북한의 로켓이 발사에 실패해 궤도를 벗어나 일본 영해나 영토에 떨어지는 상황을 전제한 것이어서 북한 총참모부의 보복타격 위협도 실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엄포’ 대 ‘엄포’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총참모부는 미국에 대해선 일본의 요격에 대응한 자신들의 보복타격에 “피해를 입지 않으려면 전개된 무력을 지체없이 철수”시킬 것을 요구했다.
미국에 대한 이러한 ‘연성’ 언급은 미국측이 최근 북한이 발사하려는 것이 인공위성으로 보인다며 요격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을 의식한 것이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는 “총참모부의 중대보도는 로켓 발사 날짜가 임박해 오면서 최후의 입장을 한.미.일에 밝힌 것”이라며 “로켓 발사를 기정사실화하면서 제재 등 강경 수단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봤다.
북한은 이에 앞서 외무성 발표와 언론보도 등을 통해 북한의 로켓 발사에 따른 후폭풍의 최소화에 진력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지난달 31일 일본이 북한의 ‘광명성 2호’를 요격하면 이를 “재침”으로 간주해 “가장 위력한 군사적 수단”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외무성 대변인은 지난달 26일 로켓 발사가 유엔 안보리에서 논의되기만 해도 북핵 6자회담을 거부하고 그동안 진행해온 핵 불능화 조치를 원상복구하고 “필요한 강한 조치들”을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추가 핵시험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특히 남한에 대해선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나서 자신들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이유로 남한이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에 전면참여할 경우 “선전포고”로 간주해 “즉시 단호한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지난달 30일 밝혔다.
이어 1일엔 북한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이 안보리가 북한의 로켓 발사문제를 취급한다면 “특정국가들의 손탁(손아귀)에 놀아나는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는 것을 드러내 놓는 것으로 될 뿐”이라고 주장해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 북한의 우방인 중국과 러시아, 그리고 영국과 프랑스를 두루 겨냥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