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지난 2월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하려고 했으나 다른 나라와 달리 ‘특별한’ 초청장을 요구해, 결국 무산됐던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이었던 한나라당 임태희 정책위원장은 19일 오전 ‘남북물류포럼’ 주최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북한이 ‘특별한’ 초청장을 전제로 취임식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지만, 남측이 이에 대한 해석을 놓고 논란을 벌이다 결국 (다른 나라와) 동일한 초대장을 보내게 됐다”고 밝혔다.
임 정책위의장은 “당시 북한은 다른 외국에 보내는 것과 똑같은 취임식 초청장에는 응하지 않는다고 전해왔다”며 “그러나 취임준비위에서 준비위원장 명의로 돌아가는 똑같은 초청장이 (북한에) 가고, 그리고 불참했다”고 전했다.
그는 “북한은 우리와 유엔에 동시 가입했기 때문에 외교적으로 실체를 인정받는 등 남북관계의 양면성이 있다”며 “그런 측면에서 (북한을) 외국으로 하고, 하지 않고까지는 고려하지 않고 같은 초청장을 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당시에 특별한 초청장에 대한 논란이 많았던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한편, 임 정책위의장은 최근의 남북관계에 대해 “지난 10년간 지속된 핫라인은 계속 가동되는 것으로 알지만 실질적인 대화보다는 의례적인 통신만 계속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을 두려움 없이 개방에 나서게 하면서 남한도 시혜적인 일방적 지원이 아니고 우리 경제의 활로도 동시에 찾아나가는 차원에서 파주에 통일경제특구를 추진해야 한다”며 “중국이 선전과 홍콩을 통해 초기에 개혁개방을 했던 것과 같은 모델을 만들어 보자는 게 일종의 아이디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