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8일 담화를 통해 미국이 대북 적대시정책을 포기해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으나, 일단 20일 출범할 부시 2기 행정부의 태도를 지켜보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특히 핵문제를 대화를 통해 해결하겠다는 원칙적 입장을 재천명했다.
대변인은 새로 구성될 부시 행정부 외교안보라인을 향해 대북 적대시 정책을 포기해야 한다는 입장과 함께 북ㆍ미 평화공존정책으로 바꿀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번 대변인 담화는 부시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북한의 입장을 다시 한번 명확하게 미국측에 전달하려는 의도인 것으로 해석된다.
대화를 통한 해결 입장 천명이나 미국의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 등이 이를 뒷받침한다.
특히 작년보다 다소 유화적 입장이 나타나 주목된다.
이같은 다소 누그러진 입장은 지난 1일 발표한 신년 공동사설에서 미국을 대놓고 비난하지 않은 부분에서 충분히 감지된 바 있다.
앞서 외무성 대변인은 작년 12월 4일 발표한 담화에서 “6자회담을 연다 해도 아무런 결과물도 없이 공회전만 하게 될 것”이라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던 점에 비하면 이번 담화는 유화적이다.
북한은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6자회담이 재개되지 못하는 것은 일부 국가들이 지적한 것처럼 북ㆍ미 쌍방에 있는 것이 아니고 “미국에 책임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는 북한이 미국과 일정 정도 거리를 유지하겠지만 반드시 ’할말은 한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북한은 지난해 6월 개최됐던 제3차 6자회담 이후 미국이 북한을 침공할 의사가없다고 밝히면서도 실제로는 북한의 제도전복을 궁극적 목표로 설정하고 선핵포기와 무장해제만을 고집했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으로 미국이 주한미군 전력증강계획과 한반도 항공모함 배치,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방지구상(PSI)에 따른 합동훈련 실시, 북한인권법 발효 등을 거론했다.
북한은 끝으로 “미국이 대화를 통한 조(북)ㆍ미 핵문제해결을 바란다면 일방적으로 파괴한 회담기초를 복구하며 제도전복을 목표로 한 적대시 정책을 실천행동으로 포기하고 우리와 공존하는 데로 나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