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당국이 최근 개인 장사를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오토바이 운행을 단속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오토바이는 북한에서 주로 장사하는 사람들이 애용하는 교통수단이다. 북한에서는 자동차나 오토바이, 자전거 등 모든 운송수단은 국가의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중국산 등 외제 오토바이에 대한 증명서 발급을 하지 않고, 값이 비싼 조선(북한)산 ‘부강 오토바이’에 한해서 증명서를 발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척 방문차 중국 단둥(丹東)을 방문한 최철준(가명·33세) 씨는 8일 기자를 만나 “요즘 들어 중국산 오토바이에 대한 증명서 받기가 하늘에 별따기가 됐다”며 “조선산에 한해서만 오토바이 증명서가 발급되어서 (주민들의) 불만이 여간 높지 않다”고 말했다.
최근 40세 이하 여성의 장마당 장사를 금지시키는 등 개인장사의 확대를 막고 있는 북한 당국이 오토바이를 이용한 장사가 활성화되자 이를 막기 위해 오토바이 등록 자체를 어렵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최 씨는 “이전에도 증명서를 발급받으려면 보안서(경찰)에 뇌물을 줘야만 했다”며 “하지만 이젠 뇌물도 안 통하고 중국산이면 무조건 발급을 안 해주는 것으로 방침이 내려온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그는 “평양에서 생산되는 조선산 오토바이의 경우 증명서가 나오지만, 한 대당 1,500달러씩이나 하고, 기관(부속품)이 좋지 않아 사람들이 찾지 않는다”면서 “중국산은 대당 600달러면 살 수 있고 조선산 보다 훨씬 좋다”고 말했다.
그는 이 때문에 “증명서 없이 중국산 오토바이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다”며 “그러나 증명서 없는 오토바이에 대한 단속이 전국적으로 강화되며, 신의주에서만도 하루에 500대가 무상 회수당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무상 회수된 오토바이들은 최전선 군부대 군인들에게 배급된다고 한다.
중국산 오토바이는 2002년 경부터 중국에 친척이 있는 주민들이 선물로 받아 개인장사용으로 운행하기 시작하면서 북한에 퍼지기 시작했다.
최 씨는 “오토바이만 한 대 있으면 물건을 싣고 산골이나 각 지역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장사로는 이만한 것이 없다”며 “가격이 좀 비싸도 돈벌이가 되기 때문에 요즘은 너도나도 오토바이를 찾는다”고 덧붙였다.
최 씨는 “오토바이 뒤 적재함에 오징어나 해산물을 싣고 바닷가에서 안쪽(내륙)으로 실어 나르기도 하고 TV 같은 가전제품을 팔러 다니기도 한다”며 “사금(沙金)의 경우 지역마다 시세 차이가 나기 때문에 물건값이 오를 때 재빨리 사고 팔면 큰 돈을 남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지난해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이철남(평양 출신) 씨는 “평양이나 원산, 청진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오토바이를 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 장사 목적도 있지만 돈 있는 사람들 중에는 멋으로도 타고 다니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 씨는 “과거에는 잘 사는 사람 일부가 혼다와 야마하 같은 일본제 중고 오토바이를 타고는 했는데 지금은 중국산 오토바이가 폭넓게 퍼져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