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노동당 창당 기념일 예년처럼 ‘조용’…김정일 보도 없어

북한은 10일 노동당 창당 63주년을 맞아 이렇다 할 기념행사는 열지 않은 채, 언론매체를 통해 노동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영도력’을 찬양하고 “일심단결”과 “절대적 충성”을 강조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북한은 김정일 위원장 통치시대에 접어들면서 ‘선군정치’를 강조하고 있기는 하지만, 모든 국가권력이 노동당에 집중된 데는 변함이 없는 만큼 노동당 창당일은 북한에서 의미가 크다.

이날 오후 현재 노동당 창당 63주년관련 행사는 당.군.정 간부들의 고 김일성 주석 묘소인 금수산기념궁전 참배, 주민들의 만수대언덕 김일성 동상 참배와 김일성 회상실기집 ‘인민들속에서’ 제76권 출판, 그리고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와 촘말리 사야손 라오스 국가주석,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내각 수반 등의 꽃바구니 전달 소식이 전부다.

북한의 조선중앙TV는 공휴일인 이날 오전 9시부터 1시간 30분동안 지난 2005년 노동당 창당 60돌 기념행사를 재방송하면서 당시의 김정일 위원장의 모습을 내보냈으나, 김 위원장이 63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했다는 보도는 오후 4시 현재까지 아직 없다.

북한 매체들은 그러나 김 위원장과 노동당의 영도력 찬양과 ‘혁명 수뇌부’에 대한 결사옹위를 촉구하는 논조의 보도물을 쏟아내고 있다.

노동신문은 ‘일심단결의 기치 높이 전진하는 우리 당의 위업은 필승불패이다’는 제목의 기념사설을 통해 노동당은 “선군혁명의 세련된 참모부”라며 당의 ‘영도적 역할’ 강화를 촉구하고, 전체 주민들에 “혁명의 수뇌부 결사옹위를 삶과 투쟁의 제1차적 요구로, 확고부동한 좌우명으로 간직하고 우리의 운명이고 미래이신 경애하는 장군님을 정치사상적으로, 목숨으로 견결히 옹호 보위”할 것을 강조했다.

신문은 특히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 위대한 장군님(김정일)께서 단행하신 불철주야의 삼복철 강행군은 우리 군대와 인민으로 하여금 끓어오르는 격정을 금할 수 없게 하고 있다”며 “절세의 위인의 열화같은 동지적 사랑과 의리에 매혹되어 뗄래야 뗄 수 없는 혈연의 관계로 굳게 뭉친 것이 우리 당과 혁명대오”라고 “동지애에 기초한” ‘일심단결’을 역설했다.

온라인 매체인 ‘우리민족끼리’는 “노동당이 걸어온 지난 60여년의 자랑찬 역사는 위대한 수령, 위대한 영도자를 높이 모시고 선군의 위력을 떨치며 백전백승을 아로새겨온 승리와 영광의 연대기”였다고 주장했고,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영도로 “조선노동당의 어머니 모습은 영원할 것”이라는 등 김 위원장의 영도를 찬양하는 데 주력했다.

북한이 5, 10주년 등 이른바 ‘꺾어지는 해’가 아니면 노동당 창당 행사 자체를 크게 벌이지 않아왔다는 점에서 63주년인 올해도 특별한 현상은 아니다.

북한은 2005년에는 창당 60주년을 기념해 ‘중앙보고대회’는 물론 군 열병식 등 대규모 경축행사를 열었으나 핵실험이라는 ‘깜짝쇼’를 벌인 2006년과 지난해는 미술전시회와 당 창건기념탑 참관, 주북 외교단 꽃바구니 전달, 외국선원들의 경축집회, 청년학생들의 무도회 등 통상적인 기념행사만 가졌다.

그러나 올해 그 어느 때보다도 성대하게 치를 것으로 관측되던 정권수립 60주년(9.9) 기념행사가 김 위원장이 불참한 가운데 축소 진행된 데다 김 위원장의 노동당 총비서 추대 11주년(10.8), 핵실험 2주년(10.9)과 더불어 노동당 창당 기념일까지 ‘조용히’ 지내는 점은 눈에 띈다.

더욱이 김 위원장의 공개활동이 북한 언론매체들의 보도에서 사라진 지 51일 만에 김 위원장이 대학축구경기를 관람했다는 보도가 지난 4일 나오긴 했지만, 그의 활동을 담은 사진이나 동영상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2005년엔 군 열병식에 직접 참석했고, 지난해는 집단체조 ‘아리랑’의 그해 마지막 공연을 관람하기도 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