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은 1일 김정은이 발표한 신년사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이 4차 핵실험을 강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센터는 이날 발표한 ‘북한 신년사 분석 보고서’에서 “(북한의) 국방공업이 대량살상무기 개발에 주력하겠다는 의도는 과거에 비해 금년도 신년사에 보다 분명히 나타나있다”며 이같이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어 “신년사에서 ‘북한이 국방공업부문에서는 경량화·무인화·지능화·정밀화된 우리식의 현대적 무장장비를 더 많이 만들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면서 “이는 (핵·경제) 병진노선을 추진하면서 핵무기 개발을 포함하여 공격무기의 현대화에 박차를 가할 것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보고서는 대남부문에 대해 “2013년도 기조를 거의 답습하고 있다”면서 “과거와 마찬가지로 금년도 신년사에도 북한은 전쟁 발발 위협과 핵무기 사용 위협을 배경으로 두면서 ‘북남사이의 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내세웠다”고 분석했다.
이어 보고서는 “북한이 실제로 남북사이의 관계 개선을 위해 진정으로 노력할 의도가 있는지 의심스럽다”며 “2013년도 신년사는 ‘북남사이의 대결상태 해소’를 주장했었지만 실제 행동은 정반대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북한은 2013년 2월 3차 핵실험을 강행했고 3월 정전협정 백지화선언을 하면서 한반도 긴장을 최고조로 끌어 올린바 있다.
보고서는 신년사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분위기 조성을 강조한 것은 장성택 숙청을 계기로 주변국들 사이에 북한에 강경파가 득세하고 도발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물타기’를 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보고서는 북한당국이 진실로 남북관계 개선을 희망한다면 “북한 나름으로 분위기 조성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를 보다 구체적으로 내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