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중국에 나가 있는 무역일꾼, 유학생, 취업자들에게 김정일 생일(2.16)을 맞아 일시 귀국을 권고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중국 선양(瀋陽)에서 만난 북한 무역일군 K씨는 “장군님 생신을 맞아 중국에 나와 있는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귀국하라는 지시가 떨어졌다”면서 “유학생들을 비롯해서 일부는 조국(북한)으로 이미 떠났고, 정 사정이 안되서 못가는 사람들은 선물이나 꽃다발을 보낼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K씨에 따르면 북한 당국이 중국 체류자들에게 일시 귀국을 종용하는 이유는 지난해 김정일 사망 당시 중국 체류자들의 자진 귀국 비율이 예상보다 크게 낮았기 때문이다.
그는 “김정은 동지의 지시에 따라 ‘국가 일꾼들이나 유학생들이나 모두 자기 자리를 유지해도 좋다’는 배려를 받기는 했지만, 알아서 귀국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적었기 때문에 이런 방침이 내려온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 당국은 이번 귀국 권고 지시를 내리면서 ▲다시 한번 (충성을 표시할)기회를 준다 ▲(김정일 사망당시 미 귀국에 대해) 어떤 처벌도 내리지 않겠다 ▲ (귀국 시)갖고 오는 물품은 모두 개인 소유로 보장한다는 등을 약속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속내는 중국 체류자들의 귀국을 통해 외형적으로는 김정일 생일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충성자금’ 납부 경쟁을 도모하려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지시가 김정은의 지시인지, 노동당 차원의 지시인지 등이 분명치 않고 ‘방침’이 아니라 ‘권고’ 형식을 빌리고 있다는 점도 특이 사항이다.
K씨는 “장군님께서 서거 하셨을 때도 ‘동요하지 말고 자기자리를 지키라’는 지침이 내려왔었다”면서 “아마도 평양 간부들이 자기 개인주머니를 채우기 위해 외화벌이 일꾼들이나 유학생들을 불러 들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중국에 나와 있는 북한주민들은 귀국시 자신을 중국에 보내준 상급 간부나 기관 담당자들에게 인사치레 형식으로 현금, 컴퓨터, 가전제품, 고급 장식품 등을 선물하는 관행을 갖고 있다. 그래야만 다음 번 중국 방문이 수월해진다.
한편, 북한 내부에서는 김정일 생일 관련해 일반 주민들에게 돈을 걷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신의주 소식통은 14일 데일리NK와 통화에서 “인민반장이 주민들에게 장군님 생일 행사비를 각 세대마다 알아서 내라고 하고 있다”면서 “‘돈이 없는 사람은 물건이라도 내야 할 것 아니냐’며 독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이번에 돈을 많이 내면 나중에 좋은 일이 있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일어서 100만원씩 큰 돈을 내는 사람도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