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등장 맞춰 ‘노농적위대→軍’ 개명

북한이 570만 규모의 예비병력인 ‘노농적위대’를 ‘노농적위군’으로 바꾼 것으로 4일 확인됐다.


조선중앙TV는 지난 1일 새해를 맞아 당지도부들이 금수산기념궁전을 참배한 소식을 전하면서 “김일성 동지의 입상 양옆에는 조선노동당기와 공화국기, 조선인민군, 로농적위군 군기들이 세워져 있었다”고 밝혔다.


노농적위군이라는 명칭이 등장한 것은 당 창건 65주년을 기념해 성대한 열병식이 열렸던 지난해 10월 10일부터로 파악된다.


당시 중앙통신은 “조선인민군 육해공군 부대들과 조선인민내무군, 로농적위군, 붉은청년근위대 열병식이 성대히 진행됐다”고 밝혔으며 노동적위대라는 명칭은 그 이후 북한 매체의 보도에서 사용하지 않고 ‘노농적위군’으로 대체됐다.


노농적위대라는 명칭이 마지막으로 사용된 것은 지난해 9월11일 ‘붉은청년근위대’ 창건 40돌 중앙보고회가 끝이었다.


‘노농적위대’가 김정은 후계구도가 공식화된 9.28당대표자회 직후인 10월10일 행사 때부터 ‘노농적위군’으로 개칭한 것을 두고 일각에서는 김정은의 후계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김정은이 후계자로 공식 등장, ‘선군 후계자’로서 이미지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규모 민방위 병력을 김정은 휘하에 직속시켜 그의 국가 장악력을 높이려는 수순이라는 해석이다.  


한편 북한은 정규군인 육해공군 이외에도 ‘1순위’ 예비군격인 60만명 규모의 교도대와 노농적위군, 100만명의 붉은청년근위대(14∼16세 대상) 등 770만 명 규모의 예비병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북한은 ‘4대군사노선’의 하나인 ‘전인민무장화’를 주장하며 14세부터 60세까지 인구의 약 30%를 예비병력으로 지정하고 이들에게 개인화기와 공용화기 등 각종 전투장비를 지급해 연간 15일~30일간의 훈련을 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