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은 28일 “북한이 지난 3월말부터 조류독감 발생 등 내부 정보의 대외유출과 관련해 국제전화 사용통제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무역상사의 국제전화는 대부분 폐쇄하고 정부기관도 대외 업무를 위해 국제전화가 필수적인 부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폐쇄했다”면서 “지난 4월중순부터는 `국제전화 이용자 증명서’ 소지자만이 국제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통화도 보안요원 입회하에 하도록 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이런 동향은 광복 및 당 창건 60주년 준비와 관련한 대내외 불안 요소를 사전 제거해 내부 결속을 공고화해 보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또 “최근 북한은 경제개혁 이후 부유층, 노약자를 노린 강력 범죄와 국가물자, 외환 밀거래 등 자본주의형 범죄가 빈발함에 따라 대책 강구에 부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북한 인민보안성은 ▲범죄자 집중 단속 기간을 설정해 순찰 및 불시검문 활동을 강화중이며 ▲전과자.직장 무단 결근자 등 우범 대상자 동향을 수시 파악.관리하면서 주민들의 신고를 독려하고 ▲평양과 국경지역 등에서의 외환밀거래 단속을 위해 안전원을 장사꾼으로 위장하는 함정 단속도 실시했다고 국정원은 설명했다.
국정원은 이날 한나라당 권철현(權哲賢) 권영세(權寧世) 의원의 정동영(鄭東泳) 통일장관-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 면담시 미공개 내용 여부와 `중대제안’ 내용을 묻는 질문에 “공개하지 않은 이면 내용은 없다”면서 “중요제안 내용은 추후 적절한 기회에 공개하겠다”고 원칙적 답변만 계속했다.
또 같은 당 정형근(鄭亨根) 의원의 북한체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질의에는 “북한이 경제적.사회적으로 일부 불안요인은 있으나 현 시점에서 붕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답변했다.
이밖에 국정원은 탈북자 출신 조선일보 기자 강철환씨의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 면담 계획을 “사전에 인지했다”고 전했지만 `한국 정부에 대한 메시지가 아니냐’는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메시지는 아닌 것으로 본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위는 이날 회의에서 내달 5일 실시될 김승규(金昇圭)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참고인으로 장유식 변호사와 동국대 이철기 교수 등 2명을 추가로 선정했으며, 당초 검토됐던 서경원(徐敬元) 전 의원은 제외됐다고 열린우리당 간사인 임종인(林鍾仁) 의원이 전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