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개성에 위치한 경공업종합대학인 고려성균관의 교사를 신축하고 개성공단에 필요한 기술인력을 공급한다는 계획은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재일본 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는 23일 개성시 인민위원회 관계자의 언급을 인용, “개성공업지구에 진출한 남측 기업들의 요구 중 하나가 북측의 유능한 인재를 채용하는 것”이라며 “북측은 경공업종합대학인 고려성균관에서 그러한 인재를 육성해 나갈 것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고려성균관에 국가적인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며 “6.15시대에 새롭게 부상한 분계연선도시 개성의 특수한 위치와 함께 고려의 옛 수도에서는 현재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위한 북남협력사업인 개성공업지구가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고려성균관은 올해 4월부터 연건평 4만 1천여㎡의 면적에 3∼4층의 기본교사와 2층으로 된 체육관과 도서관, 2개 동의 실습공장, 기숙사 등으로 이뤄진 교사 신축작업에 들어갔다.
새로 지어지는 건물은 현재 고려박물관으로 사용되는 옛 성균관 건물의 옆에 지어지며 지붕에 기와를 씌워 고려시대 건축양식을 살리고 1천500여 명의 학생들이 교육을 받도록 할 계획이다.
조선신보는 “성균관은 첫 통일국가 고려에 의해 설치되고 그 후 조선 근대조선 봉건국가에서 운영한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992년 창설됐다”며 “세계적으로 역사가 오랜 것으로 알려진 이탈리아의 볼로냐대학이나 파르마대학 그리고 영국의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대학보다 앞섰다”고 소개했다.
고려성균관은 1992년 5월 개성경공업단과대학을 경공업종합대학으로 바꾸면서 고려 때 세워진 성균관을 계승해 고려성균관으로 명명했다.
김일성 주석은 고려성균관 개학 1천 주년을 맞아 지난 1992년 5월 학교를 직접 현지지도하고 교사 신축을 지시했으나 이후 김 주석의 사망과 ’고난의 행군’으로 일컬어지는 경제난으로 실현되지 못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