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3일 새벽 군사분계선(MDL)에서 20㎞ 떨어진 개성 북쪽에서 탄도미사일 2발을 동해 상으로 발사했다. 북한이 MDL 바로 인근에서 발사한 것은 매우 이례적으로 남한을 겨냥한 무력시위용으로 풀이된다.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는 올해 들어 14번째로 지난 9일 황해도 평산에서 스커드 추정 탄도미사일을 동해 상으로 발사한 데 이어 나흘 만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1시20분과 30분께 두 차례에 걸쳐 개성 북방 일대에서 동북방향 동해상으로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은 이번에도 항행금지구역을 선포하지 않은 채 미사일을 발사했다.
합참에 따르면 이번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는 500㎞ 내외이며, 사거리로 볼 때 이날 발사한 미사일은 지난 9일 발사한 것과 같은 스커드 계열로 추정된다.
북한이 최근 잇따라 탄도미사일을 시험발사하면서 저강도 도발을 계속하면서 도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특히 시간과 장소를 가리지 않고 미사일 발사를 감행한 것은 언제든지 기습발사 할 수 있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과시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더불어 한반도 긴장 조성을 통해 향후 진행되는 남북관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한 의도로도 풀이된다. 북한은 우리 정부에 한미연합훈련 취소와 모든 군사적 적대행위 중단 등을 골자로 한 ‘특별제안’을 내놓는 동시에 인천아시안게임 응원단 파견을 결정하는 등 화전(和戰)양면 전술을 펼치고 있다.
한 대북전문가는 데일리NK에 “인천아시안게임 응원단을 파견한다면서 대화분위기를 조성하고 한편에선 무력시위를 통한 대남위협을 병행하는 북한의 전형적인 강온양면 전술의 일환”이라면서 “남북관계에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의 저강도 도발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들어 MDL 인근에서의 미사일 발사가 잦은 것도 대남위협에 목적이 있는 것”이라며 “응원단 관련 남북접촉에서 자신들의 뜻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좀 더 높은 도발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