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美금융조치’ 對北 적대시 정책으로 봐”

외교통상부는 18일 “북한은 미국의 금융조치가 대북 적대시 정책의 일환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외교부는 이날 ‘9.19 공동성명 채택 이후 주요 경과 및 현 상황’이라는 제목의 보도 참고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북한은 미국의 금융조치가 공동성명 이행과 직결된 정치적 문제”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북한은)방코델타아시아(BDA) 문제 해결 이전에는 회담 복귀가 불가하다는 입장”이라며 “다만 6자회담 및 공동성명 이행 의지는 계속 언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미국에 대해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노력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오고 있다”며 “북한이 6자회담에 복귀하면 회담 틀 내에서 BDA문제 등도 논의 가능하다는 입장”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과 관련,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 9.19공동성명 채택에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며 “5차회담 이후 차기 회담 재개 지연 등 정체된 상황 타개를 위해 다각적인 외교적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에 대해서는 “6자회담 과정 및 9.19공동성명의 전면적이고 포괄적인 이행에 대한 지지 입장을 기초로 회담 진전을 위해 건설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입장”이라고 해석했다.

외교부는 러시아가 “6자회담 재개를 위해서는 미·북이 직접 접촉해 동시행동 원칙에 따른 타결책 모색이 필요하다는 원칙적 입장 하에 미-북을 설득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외교부는 “이런 문제들이 6자회담의 재개 및 진전에 방해가 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 하에 미·중 등 주요국과 협력을 통해 BDA 문제 극복과 회담 재개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