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안을 전쟁선포로 간주한다는 점을 재확인한 뒤, 북핵 문제의 해결은 압력과 제재만을 추구하는 부시 미국 행정부의 대북 적대시 정책의 변화 여부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다.
리 철 주스위스 북한대사는 16일 제네바 국제회의센터에서 개막된 제115차 국제의회연맹(IPU) 총회 제1위원회 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자격으로 행한 연설에서 “우리는 미국의 강요로 채택된 유엔 안보리의 제재 결의안을 거부한다”며 그 같이 밝혔다.
리 대사는 “6자회담에서 오랜 논의와 협상 끝에 2005년 9월 공동성명이 합의됐으나 그 직후 미국은 조선(북한)에 대한 일방적인 금융제재를 강행했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현 미국 행정부의 대조선 적대시 정책은 오로지 조선의 고립 및 파괴로 특징지워질 수 있으며, 대화와 협상을 하겠다는 미 행정부의 주장은 적대시 정책을 달성하기 위한 연막에 다름이 아니었다”면서 “미국의 핵 위협, 제재, 압력이 계속 강화됨에 따라, 조선은 다시금 핵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필수적인 절차인 핵 실험을 하도록 강요받았다”고 주장했다.
리 대사는 “조선은 책임있는 핵무기 보유국으로서 핵비확산 분야에서 국제적 의무를 성실하게 이행해 나갈 것이며, 조선반도의 비핵화를 실현하고 전세계적인 핵 무장해제 및 핵무기의 종국적인 철폐를 달성하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한 뒤, “왜 조선이라는 작은 나라가 어쩔 수 없이 핵 억제력을 보유하고 핵실험을 하게 됐는 지에 관해 공정하고 객관적인 이해를 갖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1994년 제네바합의와 2000년 올브라이트 당시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 사실 등을 언급, “제네바합의 이행과정에서 두 나라간의 해빙이 시작됐다”고 말한 뒤, 대북 핵선제타격 가능성 거론 등 그후 들어선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적대시 정책이 북한의 핵실험으로까지 이어지게 했다고 비난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