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관영 조선중앙통신이 10일 일본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신임 총리 체제가 출범한 지 한달 보름 정도 지났으나 대북정책에서 가시적인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지 않자 직설적으로 대북정책 전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중앙통신은 이날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라는 제하의 논평에서 후쿠다 총리 취임 이후 일본의 대외정책에서의 변화를 기대해왔으나 현재까지 대북정책을 비롯해 대외정치에서 달라진 것이 없다고 지적하면서 “구태의연하고 강경보수적인 대조선(북) 입장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특히 “일본의 대조선재재 책동은 전반적 국제정세의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며 조.일 적대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밖에 가져올 것이 없다”면서 “대세를 따르는 것이 일본으로서는 옳은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통신은 이어 후쿠다 내각이 “6자회담을 파탄시켜 조선반도 핵문제가 해결되지 못하게 함으로써 군국화와 핵무장의 명분을 세울수 있다고 보는 일본 내 국수주의 세력에 발목이 잡혀 대외정책 전환에서 응당한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일본이 6자회담 경제.에너지협력 실무회의에서 납치문제를 거론하면서 “경제지원을 외면”하고 일본 중의원이 대북제재 연장을 또다시 승인했다고 언급, “유독 일본만이 6자회담에서 지닌 자기의 의무를 회피하고 회담 진전에 방해를 조성하고 있다”며 이것은 “선임정권의 유치한 정치방식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북한은 대북 강경노선을 걷다 퇴장한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 이어 9월 25일 후쿠다 내각이 출범하자 대북정책 전환을 지속적으로 촉구해 왔으며,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0월초 남북정상회담에서 “일본이 후쿠다 내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앞으로 일본 정부의 정책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