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격적으로 화폐개혁을 단행한 이후 여기에 불만을 품은 주민들을 중심으로 폭력사태가 촉발되고 있다고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신문은 북한 내 소식을 전하는 한국의 매체들을 인용해 구화폐와 신화폐의 교환 비율에 불만을 가진 주민들의 폭력사태로 일부가 숨지는 등 북한 내에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북한 당국은 이러한 소요 사태를 대비하기 위해 북중 국경지대의 순찰 활동을 강화하고, 항의를 제기하는 주민들에 대한 처벌도 뒤따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투자그룹인 CLSA 아시아-태평양 마켓의 숀 코크란 한국 분석관은 “화폐개혁을 통해 시장을 장악하려는 북한 정부의 조치는 향후 10년의 운명을 좌우할 가장 중대한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북한은 국가 내에서 팽창되고 있는 개인의 부를 장악하기 위해 통화 개혁을 단행했지만, 실제로는 더 큰 어려움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북한 정부는 (시장) 시스템을 후퇴시키려하고 있지만 오히려 (이 조치를 통해) 시장이란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는 점을 주민들에게 알리게 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이번 조치는 국제사회가 관심을 갖는 핵문제보다 더욱 중대한 것”이라며 “권력은 국가가 경제적 부를 지배한다는 믿음을 주민들에게 갖게 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주민들의 돈을 빼앗은 다음에도 상품과 서비스의 제공이 비공식 시장에서만큼 이뤄지지 않을 경우 북한 정권은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