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국제관계 전문가들은 3일 북한의 발표한 외무성 핵실험 선언과 관련,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다고 해도 군사적 충돌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스인홍(時殷弘) 중국인민대학 국제관계학원 미국연구중심 주임 교수는 3일 밤 중국의 인터넷신문 동북망(東北網)과의 긴급 인터뷰에서 “가까운 시일내 군사적 충돌 가능성은 크지 않겠지만 한반도 안보 및 군사 환경은 분명히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주펑(朱鋒) 베이징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도 같은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군사충돌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전체 한반도 및 동북아 안보 환경이 매우 긴장되고 6자회담에 새로운 난제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 교수는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핵실험이 다른 국가에 군사대국화를 추구할 구실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예를 들자면 군사대국화를 추구하고 있는 일본의 아베 정부가 핵보유국이 되도록 자극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스 교수는 북한 핵실험에 대한 미국의 대응과 관련, “작년 9월 이래 북한에 대한 금융제재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미국이 더욱 엄중한 제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 성명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해달라는 질문에 “이 성명은 신뢰성이 매우 크며 일단 핵실험을 진행하게 된다면 북한은 실질적 핵능력을 구비하게 될 것”이라고 답변했다.
스 교수도 같은 질문에 “북한은 확실히 핵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있고 마약 원시적인 핵무기가 있다면 앞으로 최대한 그것을 발전시킬 수 있다”며 “북한은 이미 핵실험을 하겠다는 정치적 결정을 내렸고 지금은 다만 기술적 준비를 하고 있는 단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주 교수는 북한의 핵실험 계획 발표 배경에 대해 “북한은 핵실험 진행을 통해 세계에 북한의 실질적 핵능력을 선포하고 이러한 새로운 조건하에서 다시 회담을 통해 핵문제를 해결하고 싶은 것일 수 있다”고 진단하고 “우리는 중국의 이익 및 동북아 안보를 기본으로 해서 새로운 외교 담판 과정을 다시 시작하고 각국과 협상 및 교류를 진행해 새로운 정책을 만들어내야 한다”고 제안했다.
스 교수와 주 교수는 중.미관계가 전공이지만 최근 안보리 대북결의안을 포함한 중국 정부의 대북정책 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자문 역할을 해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선양=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