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인택 통일부장관은 3일 북한이 남북 비밀접촉 내용을 폭로한 것에 대해 “그야말로 전대미문의 무책임한 행태로 저잣거리에나 있을 법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대정부질문 둘째 날인 이날 외교·통일·안보 현안에 대한 현안질의에서는 북한의 비밀접촉 폭로를 둘러싸고 국무위원들과 여야 의원 간의 날선 공방이 오갔다.
현 장관은 이날 ‘남북 비밀접촉’에 대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해 북한의 시인, 사과와 재발방지를 요구하기 위한 것”이라며 정부의 대북정책 원칙에는 변함이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북한의 ‘돈 봉투’, ‘정상회담 구걸’ 주장에 대해서는 “(북한이) 비상식적인 행태를 한다고 해서 우리마저 일일이 맞대응할 사안은 아니다”며 “(폭로로) 정부를 곤경에 빠트리고, 남남갈등을 유발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황식 국무총리도 “북한의 주장처럼 우리가 애걸하거나 돈봉투로 매수하거나 그런 일은 절대없다”며 “돈봉투, 정상회담 구걸에 대해서 말하는 것을 북한이 들으면 굉장히 즐거워할 것”이라고 했다.
구상찬 한나라당 의원은 대정부질문에서 “정부가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노력한 것은 진정성이 있었다”고 평가한 뒤 “북한이 이같은 사실을 공개한 것은 심각한 외교적 결례”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돈봉투, 정상회담 구걸 등은 지난 정권들의 협상행태를 그대로 따라하고 있어 (정부의 대북정책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없게 됐다”고 질타했다.
구 의원은 이어 “현 정부는 결국 이것도 저것도 아닌 ‘도루묵 정부’라는 평가를 받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겉으로는 대북강경책을 고수하면서 뒤로는 정상회담을 구걸했다며 정부의 이중적 행위를 비판했다. 또한 ‘돈봉투’ 경위와 김정일 방중 관련 정보력 부재 등을 강하게 질타했다.
또한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서는 대북정책 기조의 전면적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