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4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끝난 제7차 장성급회담에서 서해공동어로구역 설정문제를 논의했지만 남측이 북방한계선(NLL)을 기준선으로 하는 구역을 고수해 합의하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중앙통신은 “회담에서는 서해평화수역과 공동어로구역 설정문제를 토의했다”며 “우리측은 우리의 해상경비계선과 남측이 주장하는 북방한계선 사이를 평화수역으로 정하고 그 안에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할데 대한 공명정대한 제안을 내놓았다”고 밝혔다.
통신은 “남측이 불법무법의 북방한계선을 기준으로 우리측 영해 깊이 접근하려는 기도를 반영한 공동어로구역 설정안을 내놓았다”며 “남측의 부당한 제안은 우리측의 철저한 배격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통신은 “(양측의 입장차이로)결국 서해 해상에 공동어로구역과 평화수역을 설정하기 위한 문제토의는 합의를 보지 못하게 됐다”며 “우리측은 남측 제안의 부당성을 밝히고 통일시대에 역행해 낡은 대결시대의 구태의연한 자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대방의 그릇된 처사를 준렬히 단죄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담에서 북측은 소청도와 우도 사이 북방한계선(NLL) 아래쪽 해상 4곳에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자는 안을 제시했다.
남측은 NLL을 기선으로 동일한 면적으로 공동어로구역을 설정하되 북측 해안선과 인접한 곳은 남측으로 면적을 확대할 수 있다는 안을 제시했으나 북측이 거부해 합의에 실패했다.
조선중앙통신은 그러나 이번 장성급회담에서 남북관리구역에 대한 통행, 통신, 통관 등 3통문제를 군사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합의서가 채택됐다고 소개했다.
통신은 “합의서에서 우리측은 역사적인 10.4선언을 철저히 이행해 나가려는 우리 군대의 확고한 의지로부터 개성과 금강산지구에서의 북남협력사업에 도움이 될수 있도록 통행시간을 늘리고 통신의 신속성과 원활성을 보장하며, 통관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군사적 보장대책을 세우기로 했다”고 덧붙였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