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민 10만여명이 현대판 노예로 살고 있다고 호주의 국제 인권단체 ‘워크프리재단’가 주장했다.
워크프리재단은 25일 세계 167개국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2014 국제노예지수’ 보고서를 통해 “북한 주민 10만 8200명이 현대판 노예의 피해자”라고 밝혔다고 미국의소리(VOA)가 전했다.
재단은 “북한이 현대판 노예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책을 전혀 세우지 못하고 있으며, 심지어 정부가 현대판 노예를 용인한다는 증거가 있다”며 “북한은 현대판 노예를 범죄로 규정하는 법률이 없는 유일한 나라”라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북한의 노예지수를 조사대상 167개국 중 43위로 평가했다. 또 현대판 노예문제에 대한 북한 당국 차원의 대응을 최하위인 167위라고 밝혔다.
재단은 이어 “북한 주민들이 현대판 노예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서 “이는 강제 노동에 대한 북한 당국의 용인, 인권 규정의 부재, 높은 빈곤 수준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보고서는 현대판 노예가 전 세계에 걸쳐 3600만 명에 달한다고 했다. 세습노예, 강제결혼, 성매매, 아동착취 등이 보고된 인도에는 전 세계 현대판 노예의 40%인 1428만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