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은 북한 조문단의 이명박 대통령 접견이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가 되길 바란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특히 북한 조문단 접견 과정에서 정부가 이전 정부와는 차별화된 태도를 보여준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명박 정부 들어 첫 고위급 회담과 특사단의 대통령 면담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실질적인 남북관계 개선의 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야는 당장 내일이라도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를 소집해서 이번 특사 조의단이 대통령과의 면담에서 어떤 얘기를 했는지, 과연 정상회담을 거론했는지 등 남북관계 문제를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얘기해야 한다”며 야당에 상임위 개최를 제안했다.
공성진 최고위원도 “북한의 이 같은 행보가 통일전선전략에 입각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그럼에도 이것을 기회로 삼아 남북 화해의 물꼬가 터지길 바라는 마음은 확고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지켜야 할 원칙은 있다”면서 “북한에 대한 유엔 제재와 배치되는 남측의 선택이 있어서는 안 된다. 그런 점에서 이번 북측 조문단을 김대중 전 대통령의 조문단으로 맞아 원칙에 입각해 핵문제와 북한 개방에 대한 설명을 들은 것은 매우 적절했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박지원 정책위의장은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 조문단에 사의를 표하고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서거하시면서도 남북문제를 물꼬를 터 주셨다”고 말했다.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는 “이 정권이 들어선 이후 미흡하지만 원칙과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서 북한에 변화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며 “정부는 원칙과 기조를 지키는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을 끝까지 지켜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린다면 가장 긴급한 현안인 북핵 문제가 의제가 되어야 한다”며 “그런 면에서 이명박 정권이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나서야 한다. 북한 김정일과 미국 오바마 대통령을 서울에 초청해 3자 정상회담을 열어 북핵 문제를 논의하는 자리를 구상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1년 6개월 동안이나 가출했던 남북관계가 이제야 집으로 돌아왔다”며 “다시는 가출하는 일이 없도록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