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친북반미 성향 단체들이 선군정치 공론화를 목적으로 ‘선군정치 대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인 가운데, 북한인권 개선에 목소리를 높여왔던 대학생들이 공동 토론회를 제안해 성사여부가 주목된다.
북한인권청년학생연대는 7일 공개제안서를 발표하고 “6·15청학연대가 반드시 토론을 해야 한다면 북한주민의 압제와 고통을 함께 나누고자 하는 우리와 함께 선군정치가 북한주민들의 고통과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해 토론하자”고 제안했다.
‘6·15공동선언실천 청년학생연대’(6·15청학연대)를 비롯한 국내 친북반미 성향 단체들은 단체 홈페이지를 통해 이북바로알기 운동의 일환으로 8일 숭실대에서 ‘선군정치 대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학생연대는 “6.15청학연대 등은 지금까지 압제와 굶주림과 고통에 신음하는 북한주민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북한정권의 입장에서 그들을 대변하기에 여념이 없었다”며 “(토론회가)북한당국에 대한 거짓 환상과 왜곡을 확산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또 “군을 통해 북한 주민들을 통제하고, 체제유지의 버팀목으로 삼자고 하는 것이 바로 선군정치”라며 “선군정치는 북한의 개혁·개방, 주민들의 굶주림 해결과 정반대에 있다”고 지적했다.
학생연대는 “이러한 사실이 엄연한데도 불구하고 6·15청학연대가 선군정치에 대한 대중화를 위해 토론을 벌이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