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통상부의 21일 대변인 브리핑에서도 유엔 총회의 대북 인권 결의안 표결에서 정부가 지난해와 달리 ‘기권’한 것이 화제가 됐다.
기자들은 정부의 기권방침이 어떤 경로에서 선택된 것인 지, 그리고 그 결정이 미칠 영향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 지를 주로 물었다.
조희용 대변인은 “남북관계의 특수한 상황을 감안해 기권한 것”이라는 원론적인 답변을 고수했다.
조 대변인은 그러면서 “정부의 입장은 그간 관계 부처 협의를 통해 결정됐다”거나 “(이번 표결에서) 기권했지만 정부의 인권정책은 변한 것이 아무 것도 없다. 기본적으로 인권 중시 정책은 지속적으로 견지하면서 국제사회의 인권 문제에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북한에 인권문제가 없다고 해본 적은 없다”고도 했다.
특히 조 대변인은 유엔 총회 표결 직전 “특별히 우리 입장을 밝힌 것이 없다”는 판단에서 북한측에 사전에 설명하거나 논의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앞서 노무현 대통령을 수행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어제(20일) 저녁 늦게 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과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이 유엔 대북결의안 문제에 대해 보고를 했고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이 기권 방침을 결정했다”며 “이는 최근 남북관계 진전 상황 등을 고려한 것”이라고 말했다.
조희용 대변인은 이번 기권 표결로 인해 코 앞으로 다가온 여수 세계박람회 유치에 부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여수 박람회 유치와는 직접 관련없다”고 말했다.
한편, 외교부 직원들은 이번 표결에 대한 의견을 물으면 대부분 “할 말이 없다”며 손사래를 치고 있다. 일부 직원들은 구체적인 답변을 회피하면서도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 문제에 외교부가 그동안 어떤 입장을 견지했는 지 잘 알지 않느냐”고 우회적으로 ‘불편한 심기’를 표출하기도 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