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은 2일 북핵문제와 관련 “우리가 도달한 결론은 당사자들인 조미(북미)가 먼저 마주앉아 합리적인 해결방도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미북간 양자회담에 대한 미국의 결단을 촉구했다.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와 문답형식의 발표에서 “우리가 아량을 보여 미국과 회담을 해보고 6자회담을 포함한 다자회담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만큼 이제는 미국이 결단을 내릴 차례”라고 주장했다.
이번 발표는 리근 북한 외무성 미국국장이 미국 방문을 마친 직후 북한의 첫 공식 입장으로 미북협상 재개를 위한 대미 압박용으로 풀이된다.
대변인은 “조미 사이에 적대관계가 청산되고 신뢰가 조성되면 조선반도 비핵화 실현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게 될 것”이라며 미북 양자회담을 거듭 강조했다.
북한은 ‘적대관계 청산’이라는 과거 주장을 되풀이 하며 핵문제와 함께 미국과의 관계개선부터 주한미군 철수 문제까지를 포함한 포괄적 협상을 추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대변인은 또 “미국이 아직 우리와 마주앉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우리도 그만큼 제 갈 길을 가면 될 것”이라며 핵억제력 강화 등으로 계속 미국을 압박할 것임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리근 미국국장의 방미 사실을 두고 “이 (미북)접촉은 조미회담을 위한 예비접촉이 아니었고 따라서 접촉에서는 조미대화와 관련되는 실질적인 문제가 토의된 것이 없다”고 밝혀 이번 미북접촉의 성과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대변인은 또 미북 양자회담 후 6자회담을 포함한 다자회담 개최 입장을 재차 밝히면서 “우리의 입장은 조선반도 비핵화가 실현되려면 조미 적대관계가 청산되어 우리의 핵보유를 산생시킨 근원을 완전히 없애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원칙적이고도 타당한 요구로부터 출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난 6년 간에 걸치는 6자회담 과정은 조미 사이에 적대관계가 청산되고 신뢰가 조성되지 않는 한 6자가 아무리 회담을 해도 그것은 탁상공론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해 줬다”며 미북회담이 선행조건임을 강조했다.
이어 ‘미국이 유독 우리의 평화적 위성발사만을 한사코 걸고 들다 못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끌고가 제재를 발동시킴으로써 9·19공동성명의 기본정신인 자주권 존중과 주권평등의 원칙은 말살되고 성명은 무효화됐다”고 미국을 비난했다.
그는 “우리 공화국(북)의 정치적 자주권이 유린당한 것은 물론 우리는 경제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을 봤다”며 “1980년대부터 추진하던 흑연감속로에 의한 원자력발전소들의 건설을 중지했으나 그에 대한 보상으로 약속됐던 2기의 경수로 제공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고 영변 핵시설 무력화에 따른 경제적 혜택도 입은 것이 별로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