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외무성은 27일 6자회담 불참 입장을 거듭 확인하고 “현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화 방식은 따로 있다”고 말해 미북간 양자대화를 염두엔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북한 외무성은 이날 대변인 담화를 통해 국제사회의 6자회담 복귀 종용에 대해 “우리를 남들이 6자회담에 나오라고 하면 나가고 나오지 말라고 하면 안 나가는 그런 나라로 보려는 것부터가 어리석고 어처구니없는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앞서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 신선호 대사가 6자회담 불참을 재확인하면서 “북한은 미국과 양자 대화를 재개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밝힌 것에 연장선상으로 읽혀진다.
장거리 로켓발사에 따른 유엔 제재에 맞서 6자회담 불참을 선언한 북한이 최근 ‘대화 가능’ 입장을 밝히는 것은 국제사회의 통일된 제재압박에 따른 정치적인 부담에 따른 행보로 읽혀진다.
국제적 고립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대화를 거부하지 않는다’는 여론전을 확대, 지지 세력을 넓히면서 동시에 제재를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의 ‘담판’을 통해 압박을 해소하겠다는 과거식 접근법을 지향하고 있는 셈이다.
대변인 담화는 지난 23일 태국에서 열린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교장관 회의에서 6자회담 참가국들이 회담복귀를 종용한 것을 가리켜 “조선반도(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진심으로 바라는 나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6자회담이 왜 영원히 종말을 고하게 되었는가를 다시 한 번 명백히 밝히고자 한다”며 6자회담 불참 배경을 설명했다.
대변인 담화는 “6자회담은 그 구성의 복잡성으로 하여 자주권 존중과 평등의 원칙이 없이는 성립될 수 없는 회담”이라면서, 지난 4월 자신들이 ‘평화적 위성발사’라고 주장하는 장거리 로켓발사를 6자회담 참가국들이 앞장서 유엔안전보장이사회로 가져가 제재조치를 취함으로써 “6자회담의 생명이었던 이 원칙이 무너지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로써 6자회담은 우리의 평화적인 과학기술개발까지 가로막아 정상적인 경제발전 자체를 억제하는 마당으로 전락됐다”며 “결국 우리를 무장해제 시키고 아무것도 못하게 하여 나중에 저들이 던져주는 빵부스러기로 근근이 연명해가게 만들자는 것이 바로 6자회담을 통해 노리는 다른 참가국들의 속심”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