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당국이 중국 여행사에 비자 발급 조건으로 집단체조 관람권을 구매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을 여행하기 위해서는 고가(高價)의 집단체조 관람권을 반드시 구매해야 한다는 일종의 ‘기본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강력한 대북제재로 인해 자금난에 시달리는 북한 당국이 관광수입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북한 사정에 밝은 한 중국 소식통은 29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조선(북한)의 최대 국영여행사인 ‘조선국제려행사’가 지난 24일 중국 여행사들에 아리랑(집단체조의 옛 이름) 입장료를 내지 않으면 비자를 발급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이 포함된 통지문(공문)을 보냈다”며 “이런 조건을 내건 것은 처음인 것 같다”고 말했다.
강력한 대북제재로 북중 무역량이 급감하고 해외 파견 북한 식당 종업원 및 노동자 철수도 이어지고 있다. 주요 자금원이 차단되는 상황에서 대북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관광상품을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정은이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난 2월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2018년 6월 북미 정상회담 전후 북한을 방문한 중국인은 약 120만 명으로 1인당 최소 300달러를 사용했다고 가정한다면, 약 3억 6천만 달러의 관광 수익을 올렸다는 계산이 나온다고 추측한 바 있다.
북한의 집단체조도 관광상품 개발을 통한 수익 확보차원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올해 집단체조 이용권 구매를 반강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자금난이 더욱 심화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실제 통지문에는 ‘반드시(꼭) …해야 한다’는 뜻의 중국어(‘必须’와 ‘须’)가 한 문장에 2번이나 들어가 있다는 점에서 이용권을 판매해 반드시 수익을 챙기겠다는 북한 당국의 의지가 엿보이고 있다.
또한 소식통은 북한 당국이 공문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공연티켓 종류 이외에 별도의 특등석에 대해서도 안내했다고 전했다.
그는 “통지문에는 ‘이 밖에 소량의 특등석과 VIP석이 있습니다’는 문구가 적혀있다”며 “관련 업계에서는 ‘김정은 등 조선에서 고위직 사람들이 않았던 자리를 가리키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특등석은 지난해 9월 평양 남북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 내외가 김정은 위원장 내외와 함께 ‘빛나는 조국’을 관람했을 당시 앉았던 경기장 중앙의 메인스탠드 좌석이 아니냐는 관측이다. 또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등 남측 수행단이 앉은 좌석이 VIP석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소식통은 “통지문에 안내된 공연 입장료는 1등석은 4000위안(약 69만 원), 2등석은 2500위안(약 43만 원), 3등석 800위안(약 14만 원)이다”며 “특등석과 VIP석은 아직 가격이 제대로 제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중국 베이징(北京)에 기반을 둔 북한 전문여행사 ‘고려투어’는 사회관계망(SNS)을 통해 ‘인민의 나라’ 티켓 종류는 VIP석(800유로, 약 107만 원), 1등석(500유로, 약 67만 원), 2등석(300유로, 약 40만 원), 3등석(100유로, 약 13만 원)으로 나뉜다고 밝힌 바 있다.
고려투어가 유럽 등 서구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티켓 종류나 가격은 비슷한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