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보당국이 24일(미국시간) 의회를 상대로 북한과 시리아의 핵협력 의혹에 대한 브리핑을 열기로 해 이달초 `싱가포르 합의’를 통해 일정한 가닥을 잡아가는 듯했던 북핵 프로그램 신고문제와 6자회담의 진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날 브리핑이 비록 비공개로 열리지만, 언론보도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도 알려질 것인 만큼 여론조성의 향배가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추진에 중요 변수로 작용할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로버트 게이츠 국방장관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북한-시리아 핵의혹과 관련해 언제쯤 국민이 관련정보를 듣게 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조만간(soon)”이라고 답한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미 의회는 크리스토퍼 힐 동아태 차관보가 싱가포르 협상을 마치고 비공개 보고를 했을 때 불만족스러운 입장을 보였던 것으로 알려져 왔던 만큼 이번 북-시리아 핵협력에 관한 브리핑이 의회내 여론을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다.
대(對)의회 브리핑이 국무부가 아닌 중앙정보국(CIA)을 통해 이뤄지는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크리스토퍼 힐 차관보 등 북핵문제의 `지휘관’들이 최근 북한에 너무 많은 양보를 한다는 비난에 직면해온 점을 감안하면 이번 브리핑이 정보당국을 통한 일종의 `속도조절’ 시도가 아니냐는 관측을 낳을 법도 하다.
당장 23일 국무부 정례브리핑에서는 “지난해 9월부터 문제가 됐던 일을 이 시점에 와서 의회에 브리핑을 하는 이유가 뭐냐”는 질문이 제기됐다.
북한이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에 핵프로그램 신고서를 제출한 뒤 의회에 북-시리아 핵협력 의혹을 보고하는 수순을 밟는 게 판을 깨지 않고 `안전하게’ 가는 방법이 아니겠느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숀 매코맥 국무부 대변인은 “의회 브리핑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할 말이 없다”며 언급을 피했다.
다만 매코맥 대변인은 “우리는 6자회담의 나머지 당사국들과 마찬가지로 북한이 제출할 신고서에 확산활동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는 말로 북-시리아 핵협력 의혹이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사안임을 강조했다.
그는 오전 기자들과의 만남에서 6자회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특별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대의회 브리핑을 통해 두 나라간 협력의혹이 `물증’으로 드러난다면 그간 시리아에 대한 확산의혹을 부인해 왔던 북한의 반발이 예상돼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려는 6자회담에도 일정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