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병 예방과 치료는 건강과 장수를 위해 중요한 사업이다.”
22일 평양방송은 “의료방조(서비스)에서 구강과 의료방조는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며 북한 보건성 산하 구강 종합병원의 치아 및 구강질환 치료제 개발 성과를 소개했다.
방송에 따르면 이 병원의 리봉호 과장은 구강 질환의 예방과 치료가 의학계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라며 “입안 위생관리와 관련한 연구사업을 꾸준히 벌여 입냄새를 억제하고 사용주기도 비교적 긴 아연(Zn) 입가심물약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리 과장은 ’아연 입가심물약’이 입 냄새의 주요 원인인 휘발성 유황화합물과 반응, 냄새를 없애는 동시에 치석 억제와 항염증 작용까지 한다면서 “이 약으로 국가과학원 등 여러 단위에서 치료한 결과 기존 입냄새 제거 약에 비해 치료효과가 크다는 것이 증명됐다”고 설명했다.
또 같은 병원의 치석분과 관계자는 “구강병 예방과 치료사업에 여러 가지 연구성과를 도입하고 있다”며 “우리 과에서는 설태(혀 표면에 생기는 이끼 모양의 물질)를 깨끗이 없앨 수 있는 설태 제거기를 만들어 환자를 치료하고 황경피(황벽)의 강한 살균력을 이용한 항백치약도 개발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백성포 소금 치약과 입냄새 억제 껌, 이산화염소수 입가심제 등을 구강 치료에 도입하기 위한 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평양시 인민위원회의 상업기술준비소는 최근 충치, 치석, 구취 등 각종 구강질환 치료에 좋은 ’불소 치분’을 개발해 국가특허과학기술 성과로 등록하기도 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