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매체, 반정부투쟁 선전선동 강화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한 ’72시간 촛불집회’가 이어지자 북한 매체들은 이를 신속히, 대대적으로 전하면서 이것이 미국산 쇠고기 문제때문만 아니라 이명박 정부의 대내외 정책 전반때문이라며 ‘반정부 투쟁’과 ‘반미 자주화 투쟁’ 선동을 강화하고 나섰다.

북한 매체들은 촛불집회와 시위 소식을 매일 전하면서 남측 언론의 보도를 인용해 시위 참가 규모, 시위대의 구호, 경찰 대응, 충돌 상황 등을 자세히 소개하면서 “대중적인 투쟁으로 전환”된 것에 주목했다.

북한은 또 조선직업총동맹 등 사회단체들을 동원한 대남 공세와 선동도 개시했다.

조선직업총동맹 대변인은 8일 ’담화’를 발표해 촛불집회에 대해 “단순히 생존권을 사수하기 위한 투쟁이 아니라 민족의 자주권과 존엄, 권리를 지키기 위한 애국투쟁”이라며 “각 계층 인민들은 자주적 삶을 쟁취할 때까지 투쟁의 횃불을 더욱 세차게 지펴올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 중앙위원회’도 7일 ’대변인 담화’를 내고 “대중적 투쟁에 과감히 일떠선 남조선 청년 학생들과 인민들의 격렬한 투쟁에 뜨거운 지지와 성원을 보낸다”며 “기만술책에 절대로 속지 말고 최후의 항복을 받아낼 때까지 전민항쟁의 불길을 계속 세차게 지펴나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과 평양방송은 8일 ’남조선에서 대규모 촛불투쟁에 20만여명 참가’라는 등의 제목으로 6일 저녁부터 7일 새벽 사이의 상황을 남한 언론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이에 앞서 7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의로운 항거, 피비린 탄압 소동’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처음 시민단체들과 학생들의 참가로부터 시작된 촛불집회와 시위투쟁이 이제는 노동자, 회사 사무원, 가정주부, 늙은이 등 각계각층의 군중들이 모두 참가하는, 말 그대로 대중적인 투쟁으로 전환되었다”며 “어떤 야만적인 폭압도 정의를 위해 일떠선 인민들의 대중적 투쟁을 결코 막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평양방송도 7일 밤 ’시사논단 논평’을 통해 촛불집회가 “전민항쟁으로 번지면서” 이명박 정부의 “권력지반을 밑뿌리째 뒤흔들어 놓고 있다”며 이는 “반민족적, 반인민적 통치가 가져온 응당한 결실이며, 그들이 추구하는 반동적인 실용주의가 빚어낸 필연적 결과”라고 주장했다.

북한의 주간지 통일신보는 7일 ’불의와 매국을 용납치 말아야 한다’는 글에서 “남조선에서 미국의 식민지 지배와 군사파쑈 독재를 반대하는 대중적인 6월 인민항쟁”이 21주년을 맞는 것을 상기시키고, “파쑈독재 세력과는 타협없는 투쟁을 벌려야 한다는 것이 6월 인민항쟁이 남긴 귀중한 교훈”이라고 선동했다.

온라인 매체 ’우리민족끼리’는 7일 “남조선 인민들은…오늘의 촛불을 반미, 반이명박 투쟁의 횃불로 더욱 세차게 지펴올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한편 북한 매체들은 ’선군정치는 조국 통일 위업 실현의 필승의 보검’(통일신보.8일) ’인민들 세금없는 나라에서 행복’(중앙방송.8일) 등 북한 체제 선전 보도물을 최근 부쩍 늘리고 있다.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반정부 투쟁’ 등을 촉구하며 남한 정부에 공세를 취하는 것은 남한에 대한 것이라기보다 북한 내부 결속을 위한 것”이라며 “남한 정부의 실정을 적극 알림으로써 북한 체제의 우월성이나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영도력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신뢰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북한의 남한 정부에 대한 공세는 또 갈등국면을 겪고 있는 남북관계에 이니셔티브를 잡으려는 포석도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