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리정철, 외신 활용 여론전 주력…“말레이 당국 자백 강요”

북한 김정남 피살 사건에 연루된 북한 국적 용의자 리정철(46)이 일본 NHK와의 인터뷰에서 “(말레이시아 경찰에) ‘너희가 나를 여기까지 끌고 와서 자백하라고 했다. 죄 없는 사람을 이렇게 만들었으니까 보상하라’고 했다”고 주장했다. 말레이 당국이 자백을 강요해 이에 대한 사죄와 배상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리정철은 지난 3일 말레이시아에서 증거 불충분으로 석방 및 추방된 후 귀국길에 중국 베이징(北京)을 경유하면서 NHK와 인터뷰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NHK가 6일 공개한 전날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리정철은 김정남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서 “(말레이시아 경찰에) ‘나는 하루 종일 집에 있었다. 날조하지 말라’고 했다”고 말했다.

리정철은 말레이에서 근무지를 위장해 체류했던 데 대해 “하려했던 사업과 (현지) 회사의 사업내용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이후에) 비누 재료를 북한에 보내는 일을 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북한 국적 용의자로 지목된 현지 북한 대사관 소속 2등 서기관 현광성에 대해 “내 아파트 주위에 살고 있어 인사정도 하는 사이”라면서 “면식만 있었다”고 선을 그었다. 또 말레이 정부가 강철 북한 대사를 ‘외교상 기피인물’로 지정해 추방키로 한 데 대해 “”모략극의 연장”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말레이 경찰의) 조사를 받던 중 노래를 부르면서 견뎠다”고 말하면서 ‘내 마음 어디로 갈까…그리운 장군 별님께’라는 가사의 노래를 인터뷰 중에 부르기도 했다.

앞서 리정철은 말레이에서 추방된 후 4일 베이징 소재 북한대사관에 도착해 담장 철망을 사이에 둔 채 취재진에게 “공화국(북한)의 존엄을 훼손하는 모략이다. 말레이시아 경찰이 ‘날조된 증거’로 살해를 자백하라고 강요했다”면서 “경찰이 휴대전화 통화 이력과 독약을 싼 종이, 가족사진을 제시하며 압박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리정철이 외신 취재진들을 대상으로 한 기자회견에 이어 NHK와의 단독 인터뷰까지 응한 것은 말레이 경찰 당국의 수사가 부당하다는 것을 피력하기 위한 ‘여론전’으로 풀이된다.

이에 말레이 외무부는 지난 4일 리정철 석방을 발표하면서 “증거가 충분하지 않은 용의자 리정철을 석방한 것은 (우리의) 수사가 불편부당하고 공정하며,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다는 증거”라면서 북한의 주장을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