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신흥 부유층인 돈주들이 자신의 가족들과 공동 투자해 신발, 담배 등을 제조하는 소규모 회사를 운영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가운데, 이윤 배분을 놓고 가족 간 충돌하는 사례가 잦은 것으로 전해졌다.
평안남도 소식통은 5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최근 돈벌이가 되는 사업에 부자, 모녀, 형제 간 공동투자해 가족끼리 운영하는 합영회사 늘어나고 있지만 부작용이 많다”면서 “월 이윤분배 계산서에 자녀가 어머니 식대를 공제하면서 모녀 간 충돌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어 소식통은 “가족들이 함께 돈을 투자하면 합영이 이뤄지는데, 돈을 가장 많이 투자한 젊은 자녀들은 운영주로서 총 예산관리와 판로를, 부모는 생산공정을 관리하는 것이 보편적이다”면서 “운영주인 자녀는 월말 고용된 일공(인부)들의 월급계산서와 함께 부모 이윤도 함께 정산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가족이 공동투자한 합영은 월말이면 꼭 충돌이 일어나 싸움으로까지 번진다”면서 “월급 계산을 하면서 일공들의 식대공제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자녀들이 부모의 식대를 공제하는 것을 놓고선 충돌이 발생한다”고 부연했다.
소식통에 의하면 평안남도에는 가족들이 공동 투자해 제과업, 신발, 담배 등의 제조업을 전문으로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제조업이 늘어나자 경쟁이 치열해졌고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족끼리 함께 제조회사를 운영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이윤 분배 문제로 충돌이 발생한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젊은 세대 경우는 ‘장사 이윤은 정확해야 한다. 하루 식대 3끼도 당연히 이윤에서 공제되는 건 장사원리다’고 말하지만 부모는 ‘비도덕적 윤리’로 반발한다”면서 “돈에 아무리 환장해도 부모에게서 식대를 공제하는 건 자본주의에서나 하는 짓‘이라고 비난한다”고 전했다.
또 소식통은 “운영주인 자녀는 어머니에게 ‘장사는 도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숫자로 하는 것’이라며 ‘시장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 더 큰 화가 된다”면서 “모녀 간 충돌싸움은 사회를 계급으로 배워준(가르친) 북한 교육의 산물이며 기성세대와 현 세대 간 차이”이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갈등에 대한 주민 반응 관련 소식통은 “주민들은 ‘장사는 절대 가족끼리 하는 것이 아니다. 남을 고용하여 정확한 노임을 주는 것이 가장 정확한 시장원리’라고 말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