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국경서 한국산 스마트폰 인기…“사진·문자 전송 빨라”

최근 북한 국경지역에서 한국산(産) 스마트폰을 소유하려는 주민들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함경북도 소식통은 1일 데일리NK와의 통화에서 “밀수를 하는 주민들은 대부분 외부와 연락할 수 있는 손전화(핸드폰)를 가지고 있는데, 최근엔 한국산 타치폰(스마트폰)을 찾는 사람들이 늘었다”면서 “이는 (당국의) 전파방해와 탐지기 설치 강화에 대처가 용이하다는 소문 때문”이라고 전했다.

소식통은 이어 “한국산 손전화를 가지고 있는 주민들을 통해 통화보다 사진 전송과 문자로 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당국의) 감시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는 이야기도 돈다”면서 “때문에 밀수꾼들을 통해 한국산 휴대전화를 구입하려고 큰돈을 들이는 주민들도 있다”고 소개했다.

원래 북중 국경지역에서 이뤄지는 통화는 음성 통화가 중심이었다. 목소리를 통해 전달하는 시세 파악과 협상으로 상거래를 진행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스마트폰의 존재가 점점 확산되면서 카카오톡, 라인 등 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한 대화 방식에도 눈을 뜨기 시작한 주민들이 자연스럽게 늘고 있다고 한다.

다만 여기서 북중 국경지역에서는 정보 전달 속도는 중국 인터넷 상황에 가장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주민들은 휴대전화의 기능이 좋으면 속도도 덩달아 빨라진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소식통은 “주민들은 기술적인 부분과는 관계없이 한국산 휴대전화가 중국산보다 전파방해나 탐지에도 우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면서 “중국 대방(무역업자)으로부터 중국 제품을 받은 주민들이 ‘이건 우리도 얼마든지 구할 수 있다. 한국산 좀 부탁하자’고 이야기 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북한 주민들이 한국산 스마트폰을 찾는 이유로는 당국의 감시·통제 강화도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는 “중국산을 쓰면 반당반혁명분자로 취급되고 그렇다고 질 떨어진 우리 제품을 쓸 수 없으니 다른 방법이 없는 것 아니겠냐”라면서 “어느 용감한 밀수꾼들은 우리 제품과 모양이 비슷한 한국 최신 타치폰를 구입해 길거리에서 대놓고 통화를 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김정은의 이복형 김정남 피살 사건 등 민감한 외부 정보에 대한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북한 당국의 움직임에 주민들은 그때마다 새로운 출구를 모색하곤 한다.

소식통은 “보위부에서 일부 주민들을 매수해서 중국밀수를 허용하는 대신 다른 외부 통화자들에 대한 감시 및 신고를 유도하고 있다”면서 “이 부분까지 파악한 주민들은 남의 전화기를 빌리는 것보다 자신 소유의 한국산 손전화를 마련하는 데 온 힘을 쏟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한국산 스마트폰은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중국에 나와 있는 무역일꾼 및 유학생을 중심으로만 인기를 끌었었다. 간부와 그 자녀들에게 인정받은 한국산 스마트폰의 성능이 이제는 조금씩 북한 주민들에게도 전해지고 있는 모양새다. 

강미진 기자
경제학 전공 mjkang@uni-medi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