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최근 “일본과의 국교정상화를 강력히 희망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져 7개월이 넘게 겉돌고 있는 북.일 수교협상 재개 여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같은 사실은 최근 방한했던 야마사키 다쿠(山崎拓) 전 자민당 부총재가 17일 정동영 통일부 장관과의 비공식 면담 내용을 일본 언론에 밝히면서 확인됐다.
19일 일본 언론에 따르면 북한을 방문했던 정 장관은 지난달 17일 김 국방위원장으로부터 “일본과 국교 정상화를 강력히 희망한다”는 말을 전해 들었다며 야마사키 전 부총재에게 설명했다.
야마사키 부총재는 5월 말 정 장관에게 “핵과 납치 문제를 해결해 북.일 국교정상화를 이룩하겠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는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뜻을 김 국방위원장에게 전해달라고 부탁했다.
결국 요코타 메구미 유골공방으로 냉각된 북한과 일본 사이에서 정 장관이 국교정상화 ’메신저’ 역할을 한 셈이다.
북한은 2002년 9월 평양선언 이후 일본인 납치 피해자 및 가족들을 돌려 보내며 납치문제에 대한 해결 의지를 보였으나 지난해 말 터진 요코타 메구미의 유골 진위공방으로 일본과 협상을 중단했다.
북.일 국교정상화 담당대사를 역임했던 정태화(鄭泰和)씨가 지난 2월 물러났으며 아직 후임자는 선정되지 않고 있다.
일본내 부정적 여론도 넘어야 할 과제로 지목된다.
일본에는 요코타 가짜유골 파동으로 인한 부정적 여론이 가라앉지 않았고, 북핵 문제 역시 해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협상테이블에 선뜻 나서기 힘들다는 게 전문가들의 반응이다.
이와 관련, 중국과 러시아 등 6자회담 참가국들은 일본인 납치 문제가 6자회담 의제가 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내주 베이징(北京)에서 개최예정인 제4차 6자회담 결과에 따라 북.일 수교협상이 재개될지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