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日, “납치문제 재조사·경제제재 완화” 상호 요구 확인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1년 4개월 만에 열린 북한과 일본의 정부 간 공식 협상에서 일본인 납치문제 관련 재조사·경제제재 완화 등 서로의 요구를 확인한 채 이틀간 일정을 마무리했다.


북한 송일호 북일국교정상화교섭 담당대사와 일본 이하라 준이치(伊原 純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수석대표로 참가한 이번 정부 간 협상은 첫날인 30일에는 주중 북한대사관에서, 다음날에는 주중 일본대사관에서 진행했다.


이하라 국장은 31일 이틀간에 걸친 회담을 끝낸 후 납치문제를 앞으로 의제로 다루기로 쌍방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납치문제에 대해 “(일본의) 기본적인 생각을 제시했다”면서 “일본인 납치문제를 대하는 북한의 태도는 적어도 논의하는 것을 거부하는 대응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또 일본 정부는 이번 협상에서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도 배척하지 않겠다’는 북한 외무성의 성명에 유감을 표명했으며 북한의 지난 26일 탄도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 위반이란 점을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교도통신은 이날 정부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 “북한과 일본인 납치 문제에 관해 충분히 논의했다. 충실하게 의견 교환했다”면서 “일본은 납치 피해자의 안부에 관한 재조사와 피해자의 전원 귀국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이어 회담에서 “북한에 있는 일본인 유골 회수 문제와 북한에 납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일본 측이 주장해 온 특정 실종자의 안부 확인도 다뤄졌으며 양측이 베이징 대사관을 통해 다음 협의 일정을 조정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또한 재일 조선인 귀환사업 때 남편을 따라 방북한 일본인 여성의 귀환 문제, 일본 항공기 요도호 납치범 송환 등도 거론됐다고 덧붙였다.


북한은 정부 간 협상에서 경제제재 완화와 일제 강점을 둘러싼 ‘과거 청산’을 의제로 꺼냈다.


북한의 2006년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일본이 시행 중인 대북 수출입 전면 금지나 북한 국적 보유자의 일본 입국 제한 등 각종 제재 완화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과거 청산과 관련, 국교 정상화 후 북한에 대한 경제 협력 제공 외에도 일본군 위안부 보상 문제 등이 거론했으며, 도쿄의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 건물 경매에 따른 매각 허용 결정에 관해 재일 조선인이나 양국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라며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양국은 납치문제·핵·미사일·과거청산·제재 완화 등 각자가 원하는 바를 드러내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지만 일단 논의를 계속하기로 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양국의 움직임이 실질적인 관계 회복으로 이어질지가 주목된다.


한편 교도통신은 이번 협상이 재임 중 납치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의지에 따른 것이지만 이로 인해 북한 핵 문제를 둘러싼 한미일 3국 공조에 균열이 생길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