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천안함 공격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에 중국이 동참할 것인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일각에선 중국의 입장변화가 임박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AP통신 등 미국 언론들은 원자바오 중국 총리가 방한기간 입장변화를 시사할 것이라는 구체적인 시점까지 제시하고 있다. 또한 중국 관영언론이 북한의 태도를 비판하고 나서면서 중국이 ‘북한 감싸기’에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낳는다.
AP통신은 26일(현지시간)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 이후 이명박 대통령의 대북 제재조치에 무반응으로 일관하던 중국이 조심스럽게 남한의 입장에 근접해 갈 것이라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베이징에서 있었던 미중 전략회의 이후, 미 고위관리들은 “3월에 있었던 북한의 천안함 공격에 대한 해명이 있어야 한다는 남한입장에 중국정부도 조심스럽게 동조해 나갈 것”이라고 시사했다.
이들은 “(미국)행정부는 원자바오 중국총리가 이번 주말 서울을 방문하는 기간 중, 중국이 현재의 중립적인 입장에서 벗어나기 시작할 것이라고 기대한다”라며 중국의 구체적인 입장표명 시기까지 밝혔다.
중국 ‘설득외교’에 주력하고 있는 한국과 미국 정부에서도 중국의 입장변화 기류가 감지된다.
필립 크롤리 공보담당 차관보는 26일 “원 총리가 금요일 서울을 방문하게 되면 남한과 더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중국의 입장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김태영 국방장관도 27일 “중국이 매우 신중하게 (천안함 관련)자료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중국이 책임 있는 강국으로 조만간 적절한 입장을 보내올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천안함 입장변화의 징후는 중국 관영언론에서도 관측된다. 인민일보가 발행하는 환구시보(環球時報)는 26일 사설을 통해 북한의 반발은 사실상 설득력이 없다면서 북한의 반응은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있으니 성의 있는 진실규명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 같은 징후가 현실화된다면 이는 중국이 천안함 조사 결과의 국제성에 대해 인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천안함 조사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과 영국, 호주 등 국제적인 조사팀이 동참했으며 이 같은 결과를 중국이 외면하기 어려웠다는 분석이다.
또 중국이 국제여론을 무시하고 북한 편들기에 치중한다면 6자회담을 비롯 한반도 영향력이 급격히 감소할 것이란 우려도 고려됐을 것이란 지적도 나온다. 한계상황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상하이 국제학연구소의 공계유(龚克瑜) 부소장은 “만약 중국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있다면, 일부 국가들은 지역 내에서 우리의 영향력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것이며, 과연 중국정부가 책임 있는 국제사회의 성원인가 의문을 품을 것이다”고 분석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배정호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도 홈페이지 기고글을 통해 “천안함 사건과 관련해 중국이 국제사회의 흐름과 여론을 외면할 명분이 점점 약화되고 있기 때문에, 대북 일변도의 편향 정책은 곧 한계에 직면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이 한국과 미국,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북한 비판 기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 유엔 안보리 회부가 추진되는 상황에서 조만간 분명한 입장을 밝힐 것이란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