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장성 “서해훈련 美함대 중국군 과녁될 것”

중국 군부가 미국이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를 서해(중국명 황해)에 파견, 한국과 합동훈련을 할 경우 중국 인민해방군의 훈련용 과녁이 될 수 있다며 엄포를 놓았다. 


중국 군사과학학회 부비서장인 뤄위안(羅援) 소장은 5일 홍콩 TV방송인 봉황위시(鳳凰衛視)의 ‘오늘의 뉴스 대담’ 프로에 출연, 중국은 서해에서 항모가 출동하는 한미연합훈련을 반대한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뤄위안 소장은 “서해에서 항모가 한미합동훈련을 벌이면 오히려 중국이 자국의 대응 능력을 점검하고 미국 항모의 작전능력을 파악하는 지피지기(知彼知己)의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우회적으로 연합훈련을 문제 삼았다.  


인민해방군은 조지 워싱턴호에 대한 자국군의 정찰능력과 감지시스템의 작동, 그리고 원거리 전산 시스템 등을 실험하고 항모에 신속하고 강력한 타격을 할 수 있는지의 능력을 실험하겠다는 설명이다. 훈련이 이뤄진다면 비록 가상이지만 일전을 치룰 수 있다는 의미다.


뤄 소장은 “한미 군사훈련은 베이징을 비롯한 화북과 요동반도가 미 항모 작전권에 포함되며, 미중 군사교류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면서 “중국 안보와 한반도 안정과 평화에 위협이기 때문에 한미훈련을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은 이번 훈련을 통해 중국의 군사력을 탐지하고 해방군 해군과 잠수함 부대를 꼼짝못하게 묶어두는 작전능력을 점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해방군은 또 제발로 걸어 들어오는 미 항모를 훈련 파트너인 청군(靑軍)으로 삼아 실전을 방불케 하는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면서 “이를 통해 항모를 주축으로 한 미국 함대의 작전능력과 작동 시스템, 해상 포진 등을 탐지하는 기회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뤄 소장은 중국군은 특히 ▲조지 워싱턴호의 C41S R 시스템 ▲미군의 한국군과의 통신 시스템 ▲ 미 항모의 포진과 위치 선정 등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앞서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마샤오톈 부총참모장은 지난 1일 홍콩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미 연합훈련이 중국 영토와 매우 가까운 서해상에서 실시돼, 분명하게 반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環球時報)는 6일 미국 태평양사령부의 한 관계자의 말은 인용, 이번 서해 훈련은 아직 계획단계이며 항모의 참가, 훈련규모 등이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